수도권 베이붐 세대 활용 경제 프로젝트 추진
"지역 내 '재취업' 유도시 경제 활성화 기대"

한경협 조사 결과. 사진=한경협 제공
한경협 조사 결과. 사진=한경협 제공

[서울와이어=고정빈 기자]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은퇴한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취업을 지원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의 지역 중소기업 취업을 지원하는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 업(Boom Up) 프로젝트(3자 연합 모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및 제주권을 제외한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역 중소기업 2곳 중 1곳(51.4%)은 현재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제조업은 인력난을 겪는 기업 비율이 60.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력난의 주된 직종은 '기술·생산'이 35.3%로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 27.7%, '사무·관리' 12.1%, '연구개발' 10.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인력난의 주요 원인으로 '낮은 급여 및 복리후생'(32.9%)을 지목했다. 이어 '회사의 업종 및 직종 특성'(16.6%), '지역 인구 감소 및 인재 유출'(12.4%), '구직자의 수도권 및 대도시 선호 경향'(11.1%) 등을 꼽았다.

청년층 이탈로 비수도권 기업의 인력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 중소기업 과반(52.2%)은 50대 이상 중장년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중장년 직원이 가진 강점으로는 '풍부한 업무경험 및 전문성'(31.0%)이 가장 높았다.

한경협이 제안하는 '3자 연합 모델'은 은퇴한, 또는 은퇴를 앞둔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지역 중소기업 취업과 귀촌 활성화를 통해 수도권 중장년, 지역 중소도시, 지역 중소기업 등 3자 모두가 상생하는 협력 구조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고향을 중심으로 한 귀촌과 지역 내 재취업을 유도한다면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와 지역경제 및 내수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