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김현지 증인 놓고 여전히 격돌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사진 왼쪽편)와 송언석 원내대표(오른쪽)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사진 왼쪽편)와 송언석 원내대표(오른쪽)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다음 달 6일 열리는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실 대상 국정감사에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이 불발됐다.

운영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김 실장을 비롯한 일반 증인 채택 문제를 논의했으나, 여야는 끝내 합의하지 못했고 기관증인만 채택한 채 회의를 마쳤다.

회의에서는 여야 간 고성이 오가며 충돌이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김 실장을 출석시켜 각종 의혹을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정치 공세라며 맞섰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은 “민주당이 오전 출석, 오후 불출석이라는 ‘반반안’을 내놨다. 국감이 치킨인가”라며 “김현지 한 사람 지키려다 코미디가 벌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당 곽규택 의원도 “김 실장이 산림청장 인사나 대통령 재판 변호인 교체에 영향력을 미쳤다는 의혹이 제기됐다”며 “총무비서관을 넘는 권한을 행사한 만큼 반드시 출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기표 민주당 의원은 “대통령 부부에 대한 공격 소재가 없으니 잘 알려지지 않은 참모를 끌어내 허위사실을 퍼뜨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채현일 의원 역시 “김 실장 배우자까지 증인으로 부르자는 건 선을 넘은 정치 공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정진석 전 비서실장 등 약 50명을 일반증인으로 요구했고 국민의힘은 김현지 실장 및 배우자, 김인호 산림청장, 이상경 전 국토부 차관 등을 증인으로 채택하자고 맞불을 놨다. 

결국 여야는 끝내 접점을 찾지 못한 채 기관증인만 채택하면서, 이번 대통령실 국감은 시작 전부터 정쟁의 그늘을 드리운 채 막을 올리게 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