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가 “정부의 ’2030 세계 AI 3대 강국 도약‘ 비전은 현 시대가 요구하는 AI 등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민국의 역량을 극대화하겠다는 약속”이라며 “AI는 산업의 한 분야를 넘어 교육과 의료, 제조, 금융, 문화 등 사회 전반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거대한 흐름이 됐다”고 강조했다.
14일 천 원내대표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 6회 서울와이어 혁신포럼’에서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AI)이 새로운 산업혁명의 중심축으로 부상한 시대에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며 “기술의 속도를 좇는 것만이 아니라 사람 중심의 AI 생태계, 신뢰할 수 있는 윤리적 기술 환경,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포용적 혁신 구조를 만으는 것”이라고 했다.
또 “이번 포럼에 함께한 각계 최고경영자(CEO)와 전문가 여러분의 통찰과 비전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질서 속에서 기술과 가치 모두를 선도하는 국가로 도약하는 데 소중한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AI 혁신의 시대, 대한민국이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강국으로 우뚝 서길 진심으로 기원한다”며 “이번 포럼을 준비한 서울와이어 관계자 여러분과 귀한 발걸음을 해주신 참석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대한민국은 AI 시대를 맞아 분명한 기로에 서 있다”며 “중국과 미국에 밀려 경쟁력을 잃는 나라로 전락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도약의 길을 열 것인지 매우 위태로운 순간”이라고 했다.
그는 “물론 우리가 모든 것을 다 잘할 수는 없지만 AI를 비롯한 기술 변화가 산업 질서와 세계 질서를 빠르게 재편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20년, 30년을 결정할 전략을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비록 현실화가 더디고 쉽지 않은 과제가 많지만 서울와이어의 ‘와이어리포트’를 통해 AI 대전환 관련 심층 분석이 꾸준히 나오고 있고, CEO 코너에서도 관련 전략을 잘 소개하고 있다”며 “이러한 지혜들을 잘 모아 협업한다면,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시대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제6회 SWIF] 축사하는 서왕진 조국혁신당 원내대표
- [제6회 SWIF] 개회사 하는 전창협 서울와이어 사장
- [제6회 SWIF] 서왕진 "대한민국, 나락 위기 벗어나… AI로 새 출발 준비할 때"
- [제6회 SWIF] 국가 경쟁력의 열쇠 'AI'… 패권경쟁 해법 제시
- [제6회 SWIF] 서울와이어 혁신포럼 성료…"AI 해법 모색하는 자리 되겠다"
- [유통체크업] 배추 준비완료… '김장대전' 시작
- [제6회 SWIF] 이정동 서울대 교수 "AI는 기술 아닌 질문의 무대"
- [제6회 SWIF] 이정동 교수 "AI 스케일업 위해선 장기적·동시다발적 연구 필요"
- [제6회 SWIF] 주제강의 하는 이정동 서울대 교수
- [데스크칼럼] 멀고 험하지만 전속력으로 가야 하는 ‘AI 3대강국’의 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