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경쟁 끝나고 현장 운용으로 초점 이동
병력 감축 속 로봇 전력화, 정비·보급망이 관건
하드웨어보다 체계 설계가 수출 경쟁력 가른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국내 방위산업이 로봇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무인화 전환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폭발물 제거 로봇, 무인지상차량, 자율비행 무인편대기 등 각종 플랫폼이 잇따라 공개되면서 기술적 진입장벽은 상당 부분 낮아졌다.
◆로봇 전력화 가속… 야전 운용이 핵심 변수
16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방위사업청과 2700억원 규모의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양산 계약을 체결해 이르면 올해 말 일선 군부대에 배치되고 2027년 전력화가 완료될 예정이다.
현대로템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다족보행 로봇은 전방 부대에서 시범 운용 중이다. 기술적 완성도와 별개로, 정비 주기·충전 효율·통신 안정성 등 야전 운용 환경이 실질적인 전력화 속도를 결정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안팎에서는 무인체계의 경쟁력이 더 이상 하드웨어에 있지 않다고 내다봤다. 로봇을 공급하는 기업보다 운용 데이터를 분석해 정비 주기를 계산하고 예비품을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이 최종적인 군수 파트너가 된다는 의미다.
차세대 무인체계 도입은 수출 확대를 노리는 K-방산에 있어 기회로 여겨진다. 다만 수출 경쟁력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부품 국산화, 운용체계 연계성, 다국적 호환성 및 규격 대응이 동반돼야 한다.
◆국산화·통합운용이 수출·경쟁력 분기점
AI 파일럿, 무인편대기, 다족보행 로봇 등 주요 무인 플랫폼은 개발이 빠르게 진척되고 있으나, 실제 수출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운용·정비·교육 체계가 결합된 패키지 수출 모델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평가다.
무인 플랫폼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데이터 링크 보안, 현장 충전·정비 인프라, 모듈 교체 체계 등이 함께 구축돼야 실전 운용이 가능하다.
기술 확보 이후에는 실전 운용이 진정한 검증대가 될 전망이다. 로봇과 무인차량이 정비·충전·소모품 교체·야외 환경 적응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나 산악 지형에서도 작동 가능한 사족보행 로봇이 소개되면서 현장 적응성이 무인체계 성능의 주요 지표로 부상했다.
K-방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로봇 하나 개발했다’ 단계가 아닌 운용 가능한 생애주기 체계(Life-cycle System) 구축이다. 조달·현장 배치·정비·예비부품 수급·사용자 교육까지 아우르는 종합운용체계가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