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재 수사 과정서 김 여사 관련 정황 잇따라 포착
尹과 연결고리 가능성, 수사 범위 확대 불가피할 듯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12·3 비상계엄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자료 확보에 본격 착수했다.
내란·외환 혐의 규명 차원의 수사망이 김 여사 개인 수사라인까지 직접 이어진 것으로 특검 수사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내란특검은 전날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김건희 특검팀에 대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영장은 특정 범죄 혐의 규명보다는 내부 검토에 필요한 정보를 한꺼번에 확보하기 위한 이른바 ‘자료 확보형 영장’ 성격이다.
특검이 김 여사로까지 수사 대상을 확대한 배경에는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관련 수사에서 포착된 정황이 자리한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의 계엄 연루 가능성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검토 흐름과 접점이 있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특검팀은 김 여사가 지난해 5월경 박 전 장관에게 보냈다는 메시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 여사가 전해준 내용은 이원석 전 검찰총장이 대통령실의 압박에 반발해 김 여사 관련 수사를 서두르라고 지시했다는 풍문을 요약한 것으로 전해지며, 실제 이후 검찰 지휘부 일부가 교체된 바 있다.
해당 정황 관련 정치권과 법조계에서는 박 전 장관과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사법 리스크 대응’에 대해 공통된 문제의식을 공유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내란특검은 이러한 의혹이 ‘계엄 판단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또 김 여사가 직면했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등 각종 의혹이 윤 전 대통령의 통치 판단, 계엄 논의에 어떤 방식으로든 작용했는지 여부도 특검이 주목하는 대목이다.
이는 박 전 장관 역시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사법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정황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