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여만에 전기요금 3.0원 인상
연료비 연동제 따른 조정단가 반영
원자재비 등 추가인상 요인 존재

[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정부와 한국전력이 약 8년만에 전기요금 인상을 발표했다. 올 초 도입된 연료비 연동제, 한전의 경영악화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선 이번 인상 조치가 부족하다고 본다. 그간의 누적적자 등을 감안하면 실적개선에 미칠 효과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23일 정부와 한전은 4분기(10~12월) 연료비 단가를 3.0원 올린다고 밝혔다.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에 전기요금 인상이다. 이에 주택용 4인 가구 월평균 350kWh 사용을 기준으로 전기요금은 4분기부터 매달 최대 1050원 더 내야 한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 배경에는 올해부터 도입한 연료비 연동제가 꼽힌다. 이는 액화천연가스(LNG), 유연탄, 유류 등 전기 생산에 들어간 연료비 변동분을 3개월 단위로 전기요금에 반영해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일종의 원가연계형 요금제다.
지난주 석탄 수출 1위 국가인 호주의 강점탄이 한 주간 12.8% 급등했다. 또 한전에 따르면 직전 3개월간(6~8월) 유연탄 가격은 세후 기준으로 kg당 평균 151.13원, LNG 가격은 601.54원, BC유는 574.40원으로 3분기 때보다 크게 올랐다.
유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높은 연료비 수준과 상승 추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연료비 변동분 반영을 검토하는 조건은 충분히 마련됐다”며 “연동제 존속 여부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는 관점에서라도 4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반영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요금인상에도 한국전력의 실적개선은 어려워 보인다. 한국전력의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3조5000억원, 영업손실은 7648억원, 지배주주 기준 당기순손실은 6958억원이다.
특히 2분기 전력조달단가가 전년 동기(49.7원/kwh) 대비 14.9% 상승한 57.1원/kwh로 나타나며, 339억원의 비용이 증가했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하반기부터 에너지 가격 상승분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는 가운데, 기저발전 이용률은 전년보다 많은 계획예방정비 일수와 겨울철 석탄화력발전 제약으로 부진할 것”이라며 “4분기 연료비 연동제가 시행이 되더라도 분기별 상한선의 영향으로 높아진 에너지 가격을 커버하기에는 부족해 하반기 실적개선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탄소배출권 무상할당량 축소 및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공급비율(RPS) 상승 등 환경 관련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비용증가도 한국전력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요금 추가인상 가능성을 점친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무섭다. 여기에 동절기 전력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천연가스와 석탄 구매가 늘어날 전망이다. 비용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4분기 전기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kWh당 7.37원의 추가인상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급등한 석탄 가격, 유가, 환율 등이 실제 적용되는 2022년 1분기에는 kWh당 20원 이상 추가적인 인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증시에선 유틸리티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코스피에서 한전기술은 전 거래일 대비 1.83% 오른 5만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또 서울가스(1.76%), 한전KPS(0.78%), 삼천리(0.41%) 등도 동반 상승했다.
정작 요금인상을 발표한 한국전력은 내렸다. 장 초반 4.08% 오르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하락전환, 1.22% 내린 2만4200원에 마감했다.
- '금소법 D-1' 은행들 막판 대책마련 분주
- 테이퍼링, 11월 시행 예상… "반년 이상 이어질 듯"
- 한전, 8년 만에 전기요금 인상…10월부터 전기요금 1kWh당 3원↑
- NH투자증권 “2000억원 유상증자, 검토 중… 결정된 바 없어”
- 코스피, 뒤늦게 헝다 여파 맞으며 3120대로 후퇴… 코스닥 0.94% 하락
- 뉴욕증시, 헝다그룹 우려 완화 '다우 1.48%↑'… WTI 73.30달러
- 원/달러 환율, 1175원선 출발 예상… 완만한 하락 전망
- 공공요금 억제한다더니...대선후 전기·가스요금 줄줄이 오른다
- 한전KPS, 해외사업 성장세 눈길…지난해 매출 2000억원 웃돌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