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동유럽국가 정상들과 원전협력 논의
국내 정책과 상충되는 행보… 원전 정책 혼란 키워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국내에서 탈원전 정책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해외에서는 원전 수출에 나선 점을 두고 정책과 역행하는 행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유럽 순방 마지막 일정인 비세그라드 그룹(V4, 헝가리·슬로바키아·폴란드·체코) 정상들과 회담에서 원전 협력을 강조했다.
안드레이 바비시 체코 총리는 정상회의를 마친 뒤 공동 언론발표에서 체코 두코바니 지역에서 진행되는 신규원전 사업과 관련 한국의 지원을 요청했으며,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한국과 체코가 원전, 방산분야로 협력을 확대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총리의 지속적인 관심을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또한 에두아르드 헤게르 슬로바키아 총리와 정상회담에서도 “수교 30주년을 앞둔 양국 협력이 방산과 인프라, 원전 등으로 확장돼 더욱 굳건한 관계를 맺기를 희망한다”며 원전 관련 협력 의사를 피력했다. 문 대통령이 동유럽 국가 정상과 만남에서 잇따라 원전 협력에 대한 의사를 밝히면서 이른바 원전 세일즈에 나선 것이다.
전날에는 아데르 야노시 헝가리 대통령과 정상회담 뒤 “원전 에너지 사용 없이 탄소중립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양국 공통 의향”이라는 공동 언론발표가 나왔다.
문 대통령이 지금까지 국내에서 주도해온 탈원전정책과 정반대 모습을 보이면서 혼란을 키웠다. 다만 청와대는 “국내 원전 산업계의 기술과 인력을 유지한다는 차원”이라며 해명에 나섰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확실히 선을 그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전날 KBS라디오에 출연해 “우리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한 2050년까지 원전의 비율을 유지한다”며 “당장 오늘 내일 원전을 폐쇄한다는 입장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부는 국내에선 원전 사업을 사장시키고 우수 인재는 전부 해외로 유출하며 탈원전 정책을 추진했다”며 “바다 건너 해외만 나가면 입장이 달라진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