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지난해 외곽수로 10개 지점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 주변 산업단지‧농경지역 오‧폐수 유입 등 외부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는 지난해부터 매립지의 외곽수로로 유입되는 외부 오염원의 수질을 매달(동절기 제외) 15개 지점 중 10개 지점을 선정해 5개 항목(pH,CODMn,SS,T-N,T-P)에 대해 수질 오염도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제2매립장 북측수로의 오염도가 가장 심각했고, 야생화공원·제1매립장동측, 안암호의 수질오염도 심했다.
하천 환경기준(Ⅲ등급, 보통)대비 항목별 오염도는 CODMn의 경우 제2매립장 북측수로는 환경기준(7㎎/L 이하)의 4.1배(29㎎/L), 야생화공원·제1매립장 동측은 3.1배(25㎎/L), 안암호는 2배(14㎎/L)를 초과했다. 부유물질(SS, 환경기준 25㎎/L 이하)은 2매립장 북측수로의 경우 7배(174㎎/L), 야생화공원·제1매립장 동측은 2.2배(54㎎/L), 안암호는 1.3배(32㎎/L)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2매립장 북측수로의 오염은 검단하수처리장‧검단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방류수, 건설폐기물 중간 처리업체들의 강알칼리(pH 9~10) 폐수 등 매립지 외부에서 오염원이 유입되기 때문에 수질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드림파크 야생화공원 북측에서 동측으로 이어지는 외곽수로의 경우 한들지구 도시개발로 인한 토사와 오수 유입 등으로 인해, 질소(T-N), 인(T-P)을 비롯한 CODMn, SS 등 수질오염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 관계자는 “외부 오염원 유입으로 수질이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천시와 서구청에 지도점검과 단속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수소생산클러스터 사업 참여 '중단'
- 수도권매립지공사 반입총량제 강화…'폐기물 3% 더 줄인다'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동절기 대비 기관장 현장 안전점검 진행
- 환경부 “수도권매립지, 상반기 중 방향 잡을 것”… 대체부지 공모 재진행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동반성장 평가 ‘최우수등급’ 달성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국내 최초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진출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쓰레기로 439만MWh 전력 생산
- 수도권매립지공사, 설연휴 중 이달 30일 폐기물 반입 허용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30년간 1억5871만t 폐기물 처리
- 수도권매립지공사, 30년간 인천시·주민에 1조2000억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