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에 5G 주파수 40MHz 추가할당 공문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SK텔레콤이 정부에 5G 3.7㎓ 대역 40㎒폭도 주파수 경매에 내놓을 것을 제안했다. 현재 정부가 내놓은 3.5㎓ 대역 20㎒폭 경매가 LG유플러스에만 유리한 방향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커지자 대응방안을 내놓은 셈이다.
25일 S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자사 고객들도 LG유플러스 고객들과 동일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추가 5G주파수를 할당해달라고 요청했다. LG유플러스외 통신사들도 동일 조건 주파수를 확보하고 경매를 진행하자는 주장이다. 주파수 할당을 요청한 대역은 5G 3.7㎓ 대역 이상의 40㎒ 주파수(20㎒ 2개 대역)이다.
SKT는 “이번 5G 주파수 할당은 특정 사업자만 이득을 보는 등 공정성을 상실했기 때문에, 3사 고객 모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 후 경매가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가 당초 주파수 할당 목적으로 밝힌 ‘고객 편익’과 ‘투자 촉진’에 가장 합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최초에 내놓은 주파수 대역은 3.5㎓ 대역 20㎒폭(3.40∼3.42㎒)으로 LG유플러스가 할당받은 5G 대역과 인접하다. 타 이통사들은 주파수집성(CA) 지원단말을 추가해야 해당 대역 사용이 가능하다. SKT와 KT 입장에서는 굳이 CA 장비를 추가하면서까지 주파수 대역 할당 경매에 참여할 이유가 없는 셈이다.
SKT는 추가로 “외산장비가 아닌 국산(삼성전자) 통신장비 투자 촉진 차원에서 3.7㎓ 이상 대역 주파수가 추가 할당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서비스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를 어느 한 사업자만 공급받게 된다면 다른 사업자는 아무리 대응 투자를 위한 노력을 해도 일정기간 동안은 근본적인 품질(데이터 속도) 차이를 극복할 수 없다”며 “절박한 심정으로 추가 주파수 할당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 5G장비 영국서 첫 상용화 가동… 유럽 진출 '청신호'
- 5G 주파수 추가할당 공청회 "사용자 위한 주파수 할당 속도내야"
- 5G 주파수 단독입찰 LG유플러스…SKT·KT “시간, 범위 제한해야”
- 이통사 싸움에 등터진 소비자 권리…5G 주파수 추가할당 경매 대립
- 통신3사, 5G 주파수 추가할당 놓고 대립
- 5G 서비스 범위는 늘었는데… 속도는 기대치 절반?
- SK그룹, 부천에 친환경 R&D 인프라시설 조성
- 이통3사 주파수 경매 '판뒤집기?'… 추가 대역 할당 요구
- 주파수 전쟁 속 조용한 KT… "중간에 끼어서 확장 못해"
- [메타센서] SKT·KT·LG유플 '4조 영업익 파티'… 서비스 개선은 언제?
- 이통3사 '연봉킹'은 박정호 SKT 부회장… 작년 38억2700만원 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