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 SKT 주파수 대역에 끼인 KT
CA투자 없이 주파수 확장 효과 없어

KT가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 사이에 끼인 주파수 대역 확장 방안을 고심한다. 정부의 추가 대역 할당에도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사진=KT 제공
KT가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 사이에 끼인 주파수 대역 확장 방안을 고심한다. 정부의 추가 대역 할당에도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사진=KT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5G 주파수 대역 경매를 두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대립하는 가운데 KT는 보유 주파수 특성상 경매 참여 자체에 실익이 없다는 주장이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가 보유한 5G 주파수 대역인 3.5~3.6㎓는 위치 상 추가 주파수 확장이 불가능하다. LG유플러스가 3.42~3.5㎓, SKT가 3.6~3.7㎓를 각각 보유했으며 KT는 양사 주파수 대역 한 가운데를 차지한 모양새다.

정부가 제시한 주파수 경매 대역폭은 3.5㎓ 대역의 20㎒, SKT가 추가로 경매를 요청한 대역폭은 3.7㎓ 이상 대역의 40㎒(20㎒ x 2개 대역)다. LG유플러스와 SKT는 주파수 추가 확장이 가능하나 KT는 상용화에 필요한 전국망 구축과 주파수 집성기술(CA) 비용을 투자할 수밖에 없다.

LG유플러스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경매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자 SKT와 KT가 함께 반대하고 나섰다. SKT가 자사 보유 대역과 인접한 40㎒에 대한 경매 추진을 요청하자 KT도 대안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태다. 단 주파수 대역 확장이 실질적으로 어려운만큼 정부의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T 관계자는 "주파수 추가 할당은 10여년 이어온 주파수 경매 사상 최초의 특정사업자 특혜 경매"라며 "투자 없이 속도 품질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타 통신사 가입자에 대한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3.40~3.42㎒(메가헤르츠)폭 5G 주파수 추가 할당 경매를 추진할 예정이었다. LG유플러스 보유 대역과 인접한 대역폭이기에 SKT와 KT가 즉각 반대하고 나섰다. SKT는 자사 대역폭과 인접한 40㎒을 추가로 경매에 올리길 요청했다.

정부는 이달로 예정된 주파수 경매를 다음 달로 미루고 각 이통사의 입장을 종합에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주파수 추가할당이 5G의 고질적인 통신 속도 문제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업계 관계자는 “3사가 모두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기에 주파수 할당 조건을 두고 조율하는 식으로 정부가 나설 것”이라며 “업계 입장은 이미 정부에 전달한 상태로 모두가 합당하다 생각하는 절충안이 나와야 잡음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주파수 #KT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