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금천구 SK 박미주유소,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1호 가동
주유소 활용, 친환경 전기 생산·전기차 충전 공간으로 탈바꿈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서울 도심에 미래차 충전인프라 시설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1호가 본격 가동된다.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은 기존 주유소·액화석유가스(LPG)충전소를 활용했다.
서울시 금천구 박미주유소(SK에너지)에 연료전지 300㎾, 태양광 20㎾를 설치해 전기를 직접 생산하면서 전기차 충전까지 가능한 시설이 구축됐다.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초급속(350㎾), 급속(200㎾) 충전기 각 1기씩도 마련됐다.
9일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과 정동채 석유협회장, 오종훈 SK에너지 대표 등은 1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개소식에 참석했다. 해당 시설은 태양광과 연료전지 등 분산 전원을 설치해 친환경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전기차 충전에 사용하는 주유소 기반 혁신 사업모델이다.
해당 사업은 산업부 분산 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과제 중 하나로 추진됐다. 지난해 5월 산업부·소방청·SK에너지 간 협의를 통해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에 대해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인정받았다.
현행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는 원칙적으로 금지됐지만, 위험성 평가를 거쳐 안전성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부처 간 협업을 통해 발전사업 허가를 받아 지난달 300㎾ 규모의 연료전지를 설치했다.
또한 정부 지원으로 급속·초급속 충전기를 구축함에 따라 분산 에너지와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갖춘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으로 탈바꿈했다. 산업부는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을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전국 주유소로 확산할 경우, 분산 발전 활성화를 통해 송배전 손실은 낮추고 도시의 전력 자급률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전기차 확대에 따른 효과적인 대응과 추가 부지확보 없이 도심 내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구축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박 차관은 개소식에서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원활한 전기차 확산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일거양득”이라며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이 ‘핸드폰처럼 상시적인 충전이 가능한’ 충전인프라 조성과 지역 에너지 거점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종훈 SK에너지 P&M CIC 대표도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은 기존의 전통 에너지 인프라를 친환경에너지 거점으로 변모시키는 첫 걸음”이라며 “친환경 분산 발전과 충전이 가능한 약 3000개의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을 전국으로 확대해 탄소중립,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