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대란·원자재 수급 차질 위기
정부 비상 TF 가동...사태 예의주시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우크라이나에서 전쟁 긴장이 높아지면서 세계 경제가 위기를 맞았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짐에 따라 원자재를 비롯한 에너지, 반도체 수급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국들이 우크라이나 사태로 가장 크게 우려하는 부분은 에너지 수급 문제다. 미국 등 서방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본격화하면서 러시아가 가스와 석유 등 자원을 무기화해 맞대응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러시아는 주요 원유 생산국이면서 세계 1위 천연가스 수출국이다. 러시아가 공급조절에 나서면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는 에너지 대란을 피할 수 없다. 유럽의 경우 러시아산 원유 의존도는 25%에 달한다.
유럽 역내에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3분의 1은 러시아에 의존한다. 러시아가 공급을 줄이거나 끊으면 유럽은 패닉에 빠질 수 있다. 지난해 12월 러시아가 유럽으로 향하는 ‘야말-유럽’ 가스관을 막자 유럽 가스 가격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최근 국제유가는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했다.
에너지뿐 아니라 원자재를 비롯한 반도체 수급도 비상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반도체 생산용 특수 가스와 주요 원자재의 주요 공급국이 때문이다.
우크라이나는 반도체 생산공정에 필수 희귀가스인 네온,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등의 주요 공급 국가로 글로벌 네온가스 용량의 약 70%는 우크라이나가 공급한다. 미국도 반도체용 네온가스 90% 이상을 우크라이나에서 들여올 정도로 의존도가 높다.
배터리 핵심소재인 글로벌 알루미늄 생산의 13%가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점도 문제다. 원자재 가격 변동성을 초래해 가격 급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해당 지역 전쟁 발발 시 공급 차질로 글로벌 반도체·배터리기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광대한 평원인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곡창이다. 밀 등 곡물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국제 식품 가격을 흔들 수 있다.
세계 경제는 유가 고공행진, 에너지 가격 상승세, 공급망 불안 위기 등이 겹치면서 큰 혼란에 빠졌다. JP모건은 “우크라이나 위기가 에너지 가격, 주식시장뿐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고 공급망을 왜곡하는 등 글로벌 경제회복세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러시아 제재에 나선 미국과 독일 등 유럽국가는 자국 경제에 미칠 파장 분석에 들어갔다. 우리나라도 우크라이나 사태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정부는 에너지 수급 불안감이 높아지자 선제적으로 비축유 방출을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박진규 제1차관 주재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0차 산업자원안보 전담대응반(TF)’을 개최하고 국내 영향을 점검한 결과 현재까지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에너지 수급·가격 일일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업계·유관기관·에너지 공기업 등과 실물경제 영향을 지속 점검하면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분야별 기업 대응창구도 운영할 예정이다.
에너지 수급 차질시 대체물량 확보와 비축유 방출, 국제공동비축 우선구매권을 통해 물량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박 차관은 “범정부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와 연계해 문제해결과 지원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우크라이나 악재에 금융시장 '퍼펙트 스톰'… 코스피 버텨낼 수 있을까
- 전쟁 긴장 고조되는 우크라 사태, 건설업계도 '비상'
- '전쟁공포' 유가 100달러 육박, 배럴당 150달러 전망도
- 홍남기 "우크라나이 사태… 비상대응 TF 적극 가동해야"
- 우크라이나 전쟁 긴장 고조…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
- ‘그분’ 의혹 조재연 대법관 “사실무근”… 법적대응 검토
- [대선 D-14] 국민의힘 "김건희씨 주가조작 보도 출처부터 불법"
- 尹 “혼밥 안 하기, 숨지 않기”… 文 외교 무능 저격 페북 글 게재
- 우크라 피눈물 흘리는데...트럼프 "푸틴은 천재, 멋진 결정"
- 우크라 전쟁 직격탄...브렌트유 배럴당 100달러 돌파
- [산업 이슈 픽] 고삐 풀린 원자재값… 배터리업계, 핵심광물 확보 '비상'
- 정부 "러시아 수출금지·제한, 국내기업 영향 제한적"
- 국제에너지기구, 6000만배럴 비축유 방출 공식화...한국은 442만배럴
- 한전·가스공사 울리는 국제 LNG 가격… '재무부담' 가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