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정 아이파크 손실 추정액 1754억원
일부 주주, 유병규 사내이사 선임 반대

HDC현대산업개발 주주총회에서 두 차례 대형사고를 일으킨 HDC현산에 대한 주주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사진=이태구 기자
HDC현대산업개발 주주총회에서 두 차례 대형사고를 일으킨 HDC현산에 대한 주주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HDC현대산업개발 주주들이 잇따른 광주 붕괴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정몽규 HDC그룹 회장의 퇴직금과 배당을 반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9일 권순호 HDC현산 대표이사 의장은 이날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근 광주에서 일어났던 두 번의 사고로 인해 너무나 큰 실망을 끼쳐드려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뼈아픈 반성과 엄중한 책임감으로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환골탈태하는 각고의 노력으로 소비자와 주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기관투자자의 주주 제안을 겸허히 받아 지속 가능 경영과 안전경영 가치를 정관에 명문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일부 주주들은 이사회가 견제와 감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김홍일 경영본부장은 “화정아이파크 손실 추정액은 1754억원으로 일부는 작년에 반영했다. 나머지는 올해 반영할 예정”이라며 “사고가 난 201동만, 2단지만, 1~2단지 모두 철거한 뒤 재시공하는 3가지 시나리오 평균값으로 안전 정밀진단을 통해 손실이 확정되면 재공시를 통해 밝히겠다”고 말했다.

정익희 각자 대표 겸 최고안전책임자(CSO)는 재발방지 대책과 관련해 “안전진단팀을 신설해 연 2회로 점검기준을 대폭 상향하고 하이리스크 현장은 원례 점검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HDC현산 관계자들의 해명에도 주주들의 반발은 지속됐다. 사퇴한 정몽규 HDC회장에 대한 퇴직금과 배당금을 돌려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날 참석한 주주 A씨는 “정 회장이 사고 책임을 지고 사퇴했으나 여전히 대주주로 남았다”며 “배당금만 150억원, 퇴직금도 68억원정도 책정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배당금과 퇴직금을 반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일부 주주들은 경영진의 책임을 물어 회사 측이 제시한 유병규 사내이사 선임안건 등을 반대하는 의견도 냈다. 하지만 유병규 대표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은 찬성 90.6%로 가결됐다. 주총에 상정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관련된 권고적 주주제안을 정관에 신설하는 안건은 부결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