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도 중간 요금제 보완 데이터 수집 중
기지국 확보, 통신망 안정화, 선결과제 우선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5G 중저가 요금제 확대를 예고해 이통3사들이 난색을 표한다. 사진=KT 제공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5G 중저가 요금제 확대를 예고해 이통3사들이 난색을 표한다. 사진=KT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5G 통신망 중간제 요금 도입을 통해 양극으로 치우친 요금제로 불편을 겪는 사례를 줄인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가 기한 내에 인수위가 제시한 조건을 충족할지가 관건이 된다. 

이통3사들도 관련해 데이터를 수집하며 요금제 확보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다만 5G 통신망이 안정화되지 않으면 요금제를 늘려도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전망이다.

남기태 인수위원은 지난 28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브리핑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이 중 5G 요금제 다양화가 주요 과제로 선정됐다. 남 위원은 "5G 이용자의 평균 데이터 이용량은 1인당 23GB 정도지만 통신사가 제공하는 요금제에서는 10GB 아니면 100GB로 그 간극을 메울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 방안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사 등 관련 기관 협의를 거칠 예정이다. 남 위원은 "5G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선택권 제한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며 "구리선이 아직도 많이 있는 통신설비 때문에 기초 인프라가 부실하고 네트워크 장비산업이 정체되는 등 해결할 과제가 많다"고 밝혔다.

이통3사들도 5G 요금제를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를 모으는 중이다. 회사들은 지속적으로 추가 요금제를 마련하고 인프라 구축과 통신상황 안정화 등이 뒷받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아직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만큼 기지국이 증설되지 않은 탓이다. 

기지국 증설을 위한 이통3사의 투자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중저가 요금제를 신설하면 통신요금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줄어 회사 매출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하고 투자 회수가 어느 정도 이뤄진 상황이라면 통신비 인하 정책을 감내할 여력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익성을 보존하기 위해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