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출근에 따른 충격 우려, 현행 근무제도 지속
재택근무 시행시 전체 체감 업무생산성 평균 79%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산된 가운데 매출 100대 기업의 73%가 재택근무 제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재택근무현황 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2.7%가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이다. 이는 지난해(91.5%)보다 18.8%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일부 기업들이 정부의 방역정책 완화에 따라 출퇴근제도로 변경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재택근무를 시행했으나 현재는 하지않은 기업은 27.3%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 중 77.8%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재택근무를 중단했다고 답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로도 재택근무를 유지하는 이유로는 전면 출근에 따른 충격 완화 등 ‘단계적 일상회복 차원’이라는 응답(43.8%)이 가장 많았다. 이어 ‘직원들의 재택근무 선호 반영(20.8%)’,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재택근무 장려 지속(16.7%)’ 등 순이다.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기업들은 ‘필요인원 선별 또는 신청(33.3%)’, ‘교대 순환형(27.1%)’, ‘부서별 자율운영(25% )’등 방식으로 운영했다. ‘교대 순환형’이 주를 이뤘던 지난해에 비해 올해는 기업 업무특성에 맞춰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재택근무시 체감 업무생산성은 ‘정상근무 대비 90% 이상’이라는 평가가 29%로 조사됐다. 재택근무시 근로자 업무생산성을 정상출근 대비 80~89%로 응답한 비중은 30.6%, 70~79%는 21.0%, 70% 미만은 19.4%를 기록했다. 체감 업무생산성 전체 평균은 79%이다.
코로나19 상황이 해소된 이후 재택근무 활용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51.5%, ‘코로나19 해소 이후에도 재택근무가 활용·확산될 것’이라는 응답은 48.5%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재택근무에서 사무실 출근비중을 높여가는 과도기인 것으로 보인다”며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재택근무 선호도가 높아지며 전통적인 근무체계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는 기업들도 상당히 많을 것이다. 시대적 흐름에 맞는 근로기준법 변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금리 오르고 기업·전세대출 늘어… 4대금융 2분기 순익도 '훨훨'
- 토스증권 "해외주식 시장점유율 10% 돌파"
- 94억원 빼돌린 KB저축은행 직원 구속… '80억원 도박으로 탕진'
- 2년 만에 돌아온 단체관광… 면세업계 '환호'
- 올 7월 전기료 인상 현실화?… 정부, 물가 상승세로 '골머리'
- 대통령실 “공정위원장 후보군서 강수진 제외”
- NH농협은행, ‘환전 MBTI’ SNS 이벤트 실시
- KB국민은행, 환경부와 환경교육 업무 ‘맞손’
- 신한은행, 연 5% 금리 ‘신한 쏠만해’ 적금 출시
- 이복현 금감원장 “라임·옵티머스, 다시 볼지 점검”
- 정부, 이달 감염병 자문위 꾸린다… 과학방역 신호탄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