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콘업계 "원자재·인건비 등 상승분 반영해야"
래미안·자이 등 대형건설사 현장 셧다운 '비상'

총파업과 레미콘업계에 이어 철근콘크리트업계까지 파업에 돌입하면서 건설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건설업계의 고심이 나날이 깊어진다. 민주노총 산하 화물연대 총파업과 수도권 레미콘업계 파업에 이어 철근·콘크리트 업계도 파업에 돌입하면서 ‘셧다운’ 위기에 봉착했다.

11일 철근콘크리트연합회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지부는 공사비 협상에 비협조적인 총 18개 시공사 26곳 공사현장을 상대로 이날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이들은 급등한 원자재 가격과 물가 상승 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상된 인건비 등 요인으로 기본 수주 공사비로 현장 유지가 어렵다고 한탄했다.

앞서 철콘연합회는 올 2월 100대 건설사에 계약 공사비 20% 증액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으나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올 4월 호남·제주지역 업체들이 현장 공사를 전면 중단하면서 철근콘크리트 단가 조정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5월에는 부산·울산·경남지역 철근콘크리트 하도급 업체들이 공사 중단을 선언했다.

이어 이번에는 수도권 철콘업계가 파업에 돌입했다. 최초로 파업을 예고했던 60곳 중 34곳 현장은 의견차가 좁혀져 셧다운 위기를 모면했다. 특히 가장 많은 현장(11곳)에서 파업이 예정됐던 대우건설 현장은 정상적으로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대기업 건설현장에서 파업이 진행되면서 셧다운 우려가 현실화된 모습이다. 삼성물산에서 시공하는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 3차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와 GS건설이 시공을 맡은 ‘판교밸리자이’, 금호건설의 ‘양주회천 아파트 신축사업’ 현장 등이 멈춘다.

철콘업계는 공사비 증액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상태다. 김학노 철콘 서울·경기·인천 사용자연합회장은 “원 청사에 지난해 11월부터 공사비 증액 요구를 수차례 요구한 바 있으나 공사비 증액에 비협조적인 시공사가 많아 현장 셧다운 결정을 했다”며 “앞으로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올 하반기는 지금보다 더 많은 현장이 파업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연이은 파업으로 건설업계에 크고 작은 타격이 발생하고 있다. 상황이 장기화되면 피해가 점차 커질 것”이라며 “업계의 의견을 즉각 반영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의견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빠른 시일 내 협상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