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임대료 유지되면 건설기계 장비 부담 커진다"
플랜트노조, 85.8% 찬성으로 파업 가결… 총력 투쟁 예고

최근 전국 곳곳에서 파업이 진행되면서 건설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최근 전국 곳곳에서 파업이 진행되면서 건설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건설업계의 고심이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화물연대 총파업과 수도권 레미콘업계 파업, 철근·콘크리트 업계 파업에 이어 이번에는 건설기계·플랜트업계의 파업 조짐이 보이기 때문이다.

1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건설노동조합은 건설사와 맺는 건설기계 임대차 계약서에 시중노임단가 지급 보장을 명시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유가 인상과 같은 외부상황이 건설기계 노동자 임금 몫을 줄이지 않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달 정부가 유류세 37% 인하 등 조치들을 취하며 세금은 소폭 줄었으나 기름값은 여전히 높다고 했다. 기름값이 오르는 상황에서 임대료가 그대로 유지되면 노동자들이 받는 임금 몫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도로를 주행하는 건설기계 장비들의 부담이 더욱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플랜트건설노동조합도 임금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플랜트노조 울산 지부가 지난 15일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투표자의 85.8% 찬성으로 가결됐다. 노조는 올 5월부터 사용자단체와 9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지난 7일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 관계자는 “쟁의조정 결과가 나오면 곧바로 쟁의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향후 투쟁방침을 확정할 예정”이라며 “고도의 기술력을 보유한 플랜트건설 노조의 대가는 결코 저평가되거나 사측의 농간 대상이 될 수 없다. 사측이 조속히 전향적인 제시안을 내지 않으면 총력 투쟁으로 맞서겠다”고 말했다.

전국 곳곳에서 파업이 끊이질 않으면서 건설업계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현장 셧다운 위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업계가 큰 타격을 받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협상이 이뤄져 파업이 진행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