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민영화 추진 공식화, 공공지분 매각해 여건 조성
경영권 위해 35% 지분 확보하려면 '10조원'…인수 부담
유력 인수 후보로 포스코, 현대차그룹, SM그룹 등 거론

정부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 HMM의 민영화를 공식화했다. 인수 후보로는 포스코, 현대차그룹, SM그룹 등이 거론된다. 사진=HMM 제공
정부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 HMM의 민영화를 공식화했다. 인수 후보로는 포스코, 현대차그룹, SM그룹 등이 거론된다. 사진=HMM 제공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정부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 HMM의 민영화를 추진한다. 정부의 공공지분을 단계적으로 매각해 여건을 조성할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계획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해수부는 해운시장을 민간 중심으로 전환하고 공공부문 역할을 재정비하기로 했다. 그 하나로 HMM의 경영권을 민간에 중장기적으로 이양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한다. HMM는 KDB산업은행과 해수부의 해양진흥공사가 각각 20.69%, 19.96% 지분을 가졌다. 두 곳이 가진 영구채까지 주식으로 전환하면 약 76% 지분이 공공부문 소유가 된다.

앞서 지난 10일 열린 사전브리핑에서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HMM이 흑자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이 HMM을 계속 가져갈 수는 없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민영화로 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9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던 HMM에 공적자금 7조4000억원을 투입해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그 결과 지난해 매출액 13조8000억원, 영업이익 7조4000억원에 이르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오랜 부진에서 벗어났다.

현재 주식 가격으로 볼 때 민간이 HMM 경영권을 갖기 위해 35%의 지분을 확보하려면 10조원 가까운 돈이 투입된다. 천문학적 규모의 금액인 만큼 이만한 자금력을 갖춘 인수 후보를 찾기 쉽지 않아 민영화 과정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공공기관 지분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방식으로 민영화 여건을 조성하려는 이유다.

매각 이야기가 나오고부터 HMM의 인수 후보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은 풍부한 자금력을 갖춘 포스코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이다.

정부 안팎에서 최적의 인수 후보로 꼽히는 포스코그룹은 과거 물류 자회사 설립을 검토하다 업계 반발로 계획을 접은 경험이 있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현대글로비스와 HMM이 만나면 중복되는 사업이 적어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외 SM그룹과 CJ그룹도 인수 후보로 꼽히며, 현대상선의 자동차 운송사업부에서 출발한 유코카캐리어스도 후보군 중 하나로 언급된다.

하지만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기업들에게도 10조원은 너무 부담스러운 규모라는 말이 나온다. 인수 후보로 언급된 기업들 역시 아직까지는 HMM 인수에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특수로 HMM의 실적과 시가총액이 급격히 늘어난 상황에 인수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상 물류 안정에 따라 업황이 정상화되면서 HMM 몸값도 재평가되면 매각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