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주요 모델 최소 2개월에서 최장 30개월 기다려야
GV80 2.5T 가솔린 모델 최장 대기, 카니발은 오히려 대기 줄어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완화에도 신차 계약 후 출고까지 대기 기간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자동차 구매정보 플랫폼 겟차가 이달 기준 국산차 출고시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주요 모델 30개 중 대부분은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대기 기간이 늘었다. 30개 모델 중 대기가 늘어나지 않은 것은 단 4개 모델뿐이었다.
지난해 10월 평균 출고 기간은 4주~11개월이었지만 1년이 지난 지금은 2~30개월로 늘었다. 출고 지연은 인기 모델과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현대차의 아반떼 1.6은 전년 대비 대기기간이 4개월에서 10개월로 6개월 늘었다. 그랜저 2.5 가솔린 모델은 3~4개월에서 7개월 3~4개월 더 길어졌다.
또 아반떼와 쏘나타, 그랜저,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은 지난해 예상 인도 기간이 각각 4개월, 4~5주, 9~10주, 6개월이었지만 이번 달에는 24개월, 7개월, 10개월, 24개월로 늘었다.
비교적 출고 기간이 짧았던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도 차량 출고까지 10~30개월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기 기간은 8~9주에서 길게는 6~7개월이었다.
특히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V80 2.5T 가솔린 모델의 출고 기간은 30개월 이상으로 전체 모델 중 대기가 가장 길었다. 이번 달에 이 차량을 계약하면 2025년쯤 받을 수 있는 셈이다.
기아의 K3와 K5 2.0 가솔린 모델은 4개월, 7~8개월 기다려야 한다. 1년 전보다 평균 3~5개월 길어졌다. K5, K8, 쏘렌토 하이브리드 모델의 대기도 8.5개월, 2개월, 7개월 늘었다.
카니발은 오히려 대기가 줄었다. 7인승과 9·11인승 모두 대기 기간이 6개월로 지난해보다 한 달 줄었다. K8 2.5는 6개월에서 4개월로 2개월 대기가 짧아졌고, 3.5 가솔린 모델은 2.5개월에서 2개월로 0.5개월 인도 기간이 줄었다.
이런 신차 출고 지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불러온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수급난으로 생산 차질이 생긴 후 여전히 수요가 해소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반도체 수급난은 점차 해소되고 있지만, 그동안의 쌓인 수요가 풀리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 캐스퍼 신규 트림 '디 에센셜' 출시… 고급사양 추가해 1690만원
- 경차 캐스퍼 출시 1년 만에 5만대 판매 눈앞… 호조 이어갈까
- 'IRA 우려 현실화' 현대차·기아 미국 전기차 판매 감소
- 현대차그룹, '트레일러 드론'으로 레드닷 어워드 첫 대상 수상
- 현대차, 수소차 보급으로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 나서
- 메디톡스, 2022년도 공채 4기 신입·경력사원 모집
- 현대차그룹 "2025년까지 모든 차종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
- 기아 노조, 부분파업 취소… 본교섭 재개
- 취임 2년 정의선 회장,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대전환 선언
- 현대차·기아 'R&D 협력사 테크데이' 개최… "동반성장 기술교류 노력"
- 현대차·기아 3분기 세타엔진 리콜비용 2.9조… 엔진 평생보증에 발목
- 정의선 회장, 올해 6번째 미국 출장길…IRA 돌파구 찾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