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리뷰 한줄 매출에 직결, 요구 무시도 어려워"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최근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주문하면서 과도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고객 때문에 고충을 호소하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
지난 12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숨이 턱턱 막히는 배민 요청사항’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매장 주문서에는 요청사항에 “마스크 꼭 착용하고 요리 부탁”, “봉투 꼼꼼히 무 꽉 채워 예쁘게 넣어달라”, “정량 안떨어지게 넉넉히 빠삭하게 튀겨서” 등의 내용을 적었다.
또 이 고객은 배달하는 배달 기사에게도 “오토바이 소리 안 나게”, “강아지 있으니 벨”, “문 앞 의자 위에 흙 안 묻게 올리고 문자 전송”, “절대 안 식게 해달라” 등의 내용을 빼곡히 남겼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읽기만 해도 어지럽네”, “이 정도면 주문 취소하는 게 맞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배달앱에서 고객의 무리한 요청으로 논란이 된 것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지난 6월에는 후라이드 치킨 한 마리를 시키면서 요청사항에 “아이가 순살을 좋아해서 몇 조각만 넣어주시면 감사하겠다”며 “식구가 다섯이라 치즈볼을 다섯개 챙겨주시면 리뷰를 예쁘게 작성하겠다”고 적어 논란이 일었다.
또 최소 주문 금액에 맞춰 주문하면서 ‘아이랑 먹을 거라 위생에 더 신경 써달라. 물티슈 20개, 냅킨 많이, 온수 1컵’을 요구한 고객도 있었다. 해당 매장을 운영하던 점주 A씨는 곧바로 해당 주문을 취소했으나 고객은 비슷한 요청사항으로 4번이나 주문을 계속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배달앱 ‘배달의민족’이 운영하는 ‘배민사장님광장’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장 곤란한 손님에는 ‘당당하게 사이드메뉴 서비스 요청하는 경우’가 꼽혔다. 2위는 ‘레시피 무시하는 과도한 맛 변경 요청’(21.2%), 3위는 ‘2인분 같은 1인분 요청’(14.9%) 등이었다.
자영업자들은 이런 무리한 요구를 대놓고 무시하기도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한 자영업자는 “리뷰 한줄이 매출에 직결된다”며 “요청사항을 안들어 줄 경우 별점 테러 당할까봐 신경쓰는 것 조차 스트레스”라고 하소연했다.
한편 지난해 6월 정의당 6411민생특별위원회의 ‘배달앱 이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배달앱 이용 자영업자 중 리뷰와 별점이 매출에 영향을 준다고 답한 응답자가 74.3%에 달했다.
- 카카오뱅크 mini '배달의 민족과 26일 저금' 출시
- 공정위, 배민·요기요·쿠팡이츠 등 배달앱 불공정 약관 시정
- 배달플랫폼, 정규직 라이더 뽑는다… 업계 반응은 '제각각'
- 김주현 “소상공인·중소기업, 근본적인 부채상환능력 회복 지원”
- 코로나 피해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 만기' 추가 연장된다
-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자영업자, 저금리 대환대출 30일부터 시작
- 부산은행 노조 “김지완 회장, 아들 회사 부당지원 진상 규명해야”
- 이재명, 방산주 전량 매각… “불필요한 오해 불식 위해”
- KB국민은행 알뜰폰, SKT 망 추가…통신 3사 모두 지원
- KB국민은행-경찰청, 전화금융사기 피해 예방 ‘맞손’
- 신한 쏠, 전자계약 서비스 제공
- 목장갑 나온 냉동만두… 초록마을 "제품 무기한 판매 중단"
- '프랜차이즈 치킨' 중량 천차만별… 제품별로 최대 2배 차이
- 배달원 23만명… 주 6일 일하고 보험·렌털료 떼면 손에 쥐는건 286만원
- 배달플랫폼 3사 '쩐의 전쟁'… 음식 배달료 어느정도 내릴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