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중공업그룹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선박용 전기추진솔루션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전기추진솔루션은 한국조선해양이 개발한 핵심 설비로 저탄소, 고효율 기술이 적용됐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울산시, 울산정보산업진흥원과 협력해 친환경‧고성능 전기추진솔루션(Hi-EPS)을 탑재한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을 성공적으로 건조한 뒤 명명식을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열린 명명식에는 김형관 현대미포조선 사장, 김두겸 울산시장, 송현주 산업통상자원부과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전기추진솔루션에는 직류 기반의 액화천연가스 이중연료엔진(DF)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에너지 최적 제어시스템(HiCONIS-PEMS) 등이 적용됐다.
앞서 현대중공업그룹은 올해 8월과 10월, 두차례의 해상 시운전을 통해 기존 선박용 디젤 엔진보다 운항 중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40% 가량 저감하고, 최적의 엔진 제어로 연료 효율은 6% 개선했다.
이산화탄소 저감량은 자동차 100대의 배출량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또 이번에 개발한 LNG DF엔진은 기존 엔진보다 100배가량 빨라진 1분의 1000초 단위로 발전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성능이 강화됐다.
특히 솔루션은 운항 환경과 속도에 따라 배터리로만 추진하는 제로 이미션(Zero Emission), 엔진으로 추진하는 일반 항해(Normal Seagoing), 엔진과 배터리를 모두 사용하는 부스팅(Boosting) 등 3가지 모드를 선택해서 운영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전기추진솔루션은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최근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로부터 ‘CES 2023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은 최대 선속 16노트(29.6km/h)로 운항이 가능한 2700톤급 선박이다. 울산시는 오는 12월까지 운영 시운전을 마치고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기자재 실증 테스트, 교육, 관광 목적 등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현대중공업그룹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 업체들로부터 공급받아온 전기추진 솔루션을 독자 개발해 해상 실증·인도, 명명식까지 마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대형선용 기술까지 확보해 전기추진 선박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2023 CES 혁신상...삼성전자 46개, LG 28개, 현대중 7개 휩쓸었다
- 현대중공업그룹 "탄소중립 위한 친환경 선박 시대 앞당긴다"
- 한국조선해양, 친환경 선박·설비 수주 잇따라
- 현대중공업그룹, '스마트조선소' 구축 가속화
- 현대중공업그룹, '차세대 선박' 기술 선두주자로 우뚝
- 현대重, '스마트 전기선박' 첫 건조… 엔진·배터리 중 선택 가능
- 현대중공업그룹, 'CES 2023' 출사표… 미래 ‘해양전략’ 청사진 공개
- 현대중공업 3사 노조 6일부터 총파업… 노사 합의 가능성은?
- 정기선 HD현대 사장 "AI,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 될 것"
- 현대일렉트릭, 한전에 '2097억원' 분량 ESS 공급… 창사 이래 '최대 규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