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매매수급지수 전주 대비 1.1p 하락, '30주 연속 내림세'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매수심리 위축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한국은행의 잇따른 금리인상과 정부의 대출규제가 맞물리며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10년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6.8로 지난주(67.9)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2012년 7월 첫째 주(58.3) 이후 10년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해당 지수는 올 5월 첫째 주(91.1) 이후 30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100 미만은 주택을 구매하려는 사람보다 팔려고 하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다.
서울권역 대부분은 일제히 지난주보다 지수가 하락했다. 서북권(은평·마포·서대문구)이 62.4로 가장 낮았고 도심권(용산·종로·중구)은 지난주 66.3에서 이번주 65.8로 떨어졌다. 서남권(영등포·양천·동작·강서구)은 전주(68.0)보다 2.0포인트 하락한 66.0을 기록했다.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은 74.1로 지난주(75.0)보다 0.9포인트 떨어졌고 동북권(성북·노원·도봉·강북구)은 64.5에서 63.9로 0.6포인트 하락했다. 경기(70.8)와 인천(69.5)도 지난주보다 매매수급지수가 떨어지면서 수도권 전체 지수는 69.4를 기록했다. 이는 2012년 7월 첫째 주(61.5) 이후 10년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처럼 매수심리가 위축된 가장 큰 이유는 가파른 금리인상이 꼽힌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지난달 24일 ‘베이비 스텝’(한 번에 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기준금리가 3.25%까지 치솟았다. 10년 만에 금리가 3%대를 돌파한 가운데 집값 하락 우려도 커지면서 수요자들의 매수 의지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 트로피 홈 ‘아티드’ 오피스텔 분양 마무리… 소형주택 분양 소식 눈길
- 검찰총장, '서해 피격' 수사 "선입견도 편견도 없다"
- 휘발유 대란으로 향하는 주유소 품절…유조차 업무개시명령 결행 임박
- 원희룡 "철도노조, 민주노총 전위대 말고 국민편에 서야"
- 도대체 어디까지 떨어지나… 집값 역대 하락폭 또 '경신'
- 경기침체에 車업계 재고떨이 혈전…할인 나선 캐스퍼·BMW·아우디
-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 별세… 향년 84세
- 작년 송도 아파트 매입한 30대 중국인, 1년 만에 7억원 날렸다
- 아현2구역 '마포 더클래시', 강북 최초로 분양가 평당 4000만원 넘어
- 다방·한국공인중개사협회, 상생 협력 강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편의성과 안정성 잡은 스마트홈 ‘둔산 더샵 엘리프’, 13일까지 정당계약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