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보험 비교추천 플랫폼 선봬… 시장경쟁 본격화
펫보험 시장 격전지 시간문제, 전속 큰 생명보험사 유리
장기펫보험 모집유인 효과, 시장지배력 높이겠단 의지
윤석열 정부 펫보험 활성화 국정과제 많고 내용 무거워
이해관계자 합의 골든타임 놓치면 시간 돈 낭비 가능성
![심준원 펫핀스 대표 [사진=펫핀스 제공]](https://cdn.seoulwire.com/news/photo/202212/489029_694279_4454.png)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내년 반려동물보험(펫보험) 시장에 큰 변화가 감지된다. 윤 대통령이 펫보험 활성화 방안을 국정과제에 포함한 가운데, 내년부터 관계 부처의 본격적인 활동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펫보험 활성화 방안으로 관련 규제를 완화해 생명보험사의 시장 진출 문턱을 낮췄다. 손해보험사 중 일부는 선제적으로 상품을 장기보험 형태로 리뉴얼한 상태다. <서울와이어>는 최근 일련의 변화가 펫보험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해 반려동물보험 비교추천 플랫폼 '펫핀스' 심준원 대표와 이야기를 나눴다.
-최근 금융당국의 규제완화로 펫보험 시장이 생손보사의 격전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관련 법·제도가 얼마나 빨리 뒷받침 될지가 중요하다. 시장규모가 어느정도가 되는지가 전제조건이 되겠다. 최근 손해보험사들이 장기펫보험상품을 개발해 출시하는 추세다. 이는 대면조직을 활용해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2018년 메리츠화재가 '펫퍼민트'를 출시할 때 처음으로 시도했고, 어느정도 성공한 방식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전속조직 규모가 큰 생명보험사가 손해보험사보다 유리할 수 있다. 장기펫보험상품은 설계사를 유인할 수수료가 나온다. 새로운 수익을 애타게 찾는 생명보험업계로서는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보험사는 영업채널에 목표를 할당하고 경쟁적으로 영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무리한 경쟁은 반려인들에게 '보험'에 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18년 갤럽의 설문조사에서 펫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반려인들의 70% 가량은 '펫보험의 혜택을 느끼지 못하거나 보험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을 했다. 펫보험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대면채널은 펫보험 상품비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질병 예측, 맞춤형 펫보험 추천 등이 어렵다. 온라인에서만 가능한 기술이 있는 만큼, 다양한 시각에서 시장 접근이 필요하다.
-삼성화재가 장기펫보험상품을 내놓았다.
▶펫보험 시장에 관한 경험치(데이터)를 충분히 축적했다고 보면 된다. 그동안 펫보험은 가입율과 손해율(엄밀히 말하면 합산비율)에 관한 이슈로 공격적인 영업을 하지 못했다. 이제 피보험목적물(여기서는 '반려동물')에 관한 식별문제와 수가가 없어도 질병별 보험금 청구금액의 편차와 범위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했다는 뜻이다.
이는 장기적이고 공격적인 영업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는 의미다. 상품에 따른 판매방법을 군대를 비유해 설명하자면 일반보험은 특공대, 장기보험은 보병 정규군이다. 보병 정규군이 주둔을 해야 '점령'을 했다고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설계사들이 움직일 수 있는 수수료 구조를 가진 장기상품으로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기존 시장의 포화와 인구감소로 인해 사활을 건 새로운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 측면도 있다.
-완화되는 특별이익제공 규제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펫보험 시장규모를 볼 때 이른감이 있다. 그래도 예상해보면 반려동물 건강검진과 연계한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노령견이나 질병체에 관한 차별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순종여부를 확인하고 싶은 고객, 품종에 따른 질병예측을 하고 싶은 고객 등을 대상으로 유전자검사 서비스 제공도 검토 대상이다.
필수용품을 제공해 고객을 유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어린이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을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펫보험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언이 있다면
▶반려동물 보험 분야에서 크게 2번의 변곡점이 있었다. 하나는 2018년 장기펫보험의 출시이고, 다른 하나는 2021년 맹견소유자 배상책임보험(맹견보험) 가입 의무화이다. 아쉽게도 개물림사고 예방을 위한 맹견보험 가입율이 떨어지고 있는데 관심에서 멀어져 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현정부의 110대 과제에 포함되어 있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반려동물보험 활성화'를 위한 과제들은 건수가 많고 내용들이 너무 무겁다. 진행순서와 타이밍에 맞게 관련인들의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하면 시간과 비용만 낭비될 가능성이 크다. 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無예산, 低비용, 高요율'의 정책으로 '독일식 배상책임제 도입'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품종이나 무게 등에 대한 구별없이 모든 반려견에 대해 연간 1~2만원대 수준의 배상책임보험 가입 의무화를 도입해 개물림사고 예방은 물론, 반려동물보험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건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20만원대 가량으로 예상되는 보유세 도입 효과를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동물등록'이라는 공적영역과 '보험가입'이라는 사적영역에서 반려동물 개체에 관한 크로스체크(Cross Check)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다시 한 번 ‘독일식 배상책임제’ 도입을 주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