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 지급여력제도(K-ICS)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고, 생보산업의 미래를 위한 혁신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30일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올해는 자산·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는 해”라며 “IFRS17·K-ICS의 적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현안 등을 해소해 신제도의 연착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년사 전문]
생보업계 가족 여러분!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도 생보업계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생보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3가지 핵심 과제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IFRS17·K-ICS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고, 생보산업의 미래를 위한 혁신도 지속 추진하겠습니다.
올해 시행되는 IFRS17·K-ICS의 적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현안 등을 해소하여 신제도의 연착륙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금융과 비금융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상품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회사 업무범위 제한 규제를 개선하고,
디지털화·신기술 도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경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보험회사의 업무위탁 범위 확대와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겠습니다.
둘째, 생명보험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종이서류로 처리하고 있는 실손의료보험의 보험금 청구를 전산화하여 4천만 실손의료보험 가입자가 쉽고 편리하게 보험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SNS 등 다양한 홍보 강화를 통해 더 많은 보험소비자가 내 보험 찾아주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보험금 지급과 관련이 없는 단순 민원은 협회에서 처리토록 제도를 개선하여 신속한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셋째, 보험의 사회안전망 역할 강화를 위해 보험시장 확대를 추진하겠습니다.
고령화시대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상품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소비자들의 노후생활자금 준비 지원을 위해 연금보험의 기능 강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요양·상조서비스 진출을 통해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높은 수준의 요양 및 장례서비스를 제공하여 생보사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
변화에 대응하고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 “응변창신(應變創新)”의 자세로 생보산업의 혁신을 위해 지혜와 역량을 모으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
- 이명박 前 대통령 "국민께 심려끼쳐 대단히 송구"
- [신년사] 김주현"금융시장 안정 확립 최우선… 미래 성장 대비"
- 정원주 주택건설협회장 "주택경기 전망 불투명… 정부 지원 절실하다"
- 악몽의 2022 부동산·주식·코인… 끝까지 반전은 없었다
- 신임 IBK기업은행장에 내부출신 김성태 전무 내정
- 김상수 대한건설협회장 "건설투자 활성화 집중할 것"
- 윤 대통령 "산업의 핵심, 전략산업에 세액공제 확대 검토하라"
- 갈수록 팍팍한 민생… 새해 전기·가스·대중교통 '폭탄' 예고
- 한용구 신한은행장 취임
- 후크엔터 보고있나?… 이승기, 서울대어린이병원에 20억원 기부
- 현업 시행착오 예방… 금감원, 킥스 해설서 발간키로
- 불법 업무광고 멈춰… 생보협회, GA 실태점검 나선다
- 요양사업 규제 완화… 생보사, 상조사업 기반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