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원구 지구단위계획 예산안 13억원 편성
정부, 안전진단 규제 완화 발표… 재건축 기대감↑
노후아파트 재건축 속도… "시장 분위기 반전되나"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울시가 노후 단지가 밀집된 노원구 일대의 지구단위계획을 재수립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재건축 규제 완화에 따라 기초작업을 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노원구 상계 6~10동과 중계 2·3동, 하계1·2동, 중계본1~4동, 하계1동 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가 시작된다. 예산안을 살펴보면 이들 지역의 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사업 예산이 13억원 정도로 편성됐다.
노원 일대 택지개발지구는 1980년대 대규모 주택공급을 위해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라 지정된 뒤 조성됐다. 당시 상계 택지에 공급된 상계주공아파트 등 21개 단지(3만3645가구)는 모두 재건축 연한을 넘겼다. 이 중 16개 단지는 이미 안전진단 절차를 밟는 중이다.
이 가운데 정부는 최근 안전진단 규제 완화와 35층 룰을 폐지하는 등 재건축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발표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커졌다. 안전진단 평가항목 중 구조안전성 점수 비중은 50%에서 30%로 줄었고 주거환경과 설비 노후도 점수 비중은 각각 15%, 25%에서 모두 30%로 높아졌다.
이에 재건축이 시급한 노원구 일대가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들 지역은 올 3월부터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총괄할 마스터플래너(MP)를 선정한 뒤 용역을 발주해 내년 말까지 지구단위계획 결정 고시를 내릴 계획이다. 안전진단 통과 이후 재건축 사업에 방해되는 요소를 줄이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한편 노원구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노후 아파트 단지들도 정비사업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서초구 반포미도2차 아파트는 지난 5일 서초구청으로부터 안전진단 최종 통과 통보를 받았다. 도봉구청은 창동 상아1차와 방학동 신동아 1단지, 쌍문동 한양 1차 아파트 등이 받았던 1차 정밀안전진단 점수를 개정된 기준에 따라 다시 계산해달라고 용역기관에 최근 요청했다.
- 중국서 하루 1만5천명 숨진다는데..."병원서 사망원인 코로나로 쓸수 없다"
- 자금시장 악화… SK온·포드, 4조 튀르키예 배터리 합작공장 투자 철회
- '두 얼굴의 푸틴' 휴전 중 공격·예배 참석… 50만 추가 병력까지 준비
- 테슬라의 '굴욕', 안팔리자 한중일서 10~13% 가격 할인 조치
- [날씨] 마스크 '필수', 전국 미세먼지 공포 지속된다… 기온은 상승
- 오늘 미 인공위성 잔해 낙하 주의보… 예상범위 내 한국도 포함
- 혜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캐터필라 엔진 공급계약 체결
- 원희룡 "규제 푼다고 집값 안올라… 문제는 실수요자"
- 포스코건설, 고급 브랜드 출격… 3746억원 방배신동아 재건축 잡았다
- 광명시흥지구 개발 구체화… 안양 박달동 지식산업센터 ‘안양 에이스프롬’ 수혜 단지로 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