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라진' 섞은 마약 사용 사례 급증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동물 진정제 ‘자일라진’을 기존 마약에 혼합해 사용하는 사례가 급증해 미국 보건당국이 비상에 걸렸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지난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962년 개발된 자일라진은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수의사들이 말·소 마취제나 고양이 구토 유발제로 널리 쓰는 동물용 의약품이다. 상표명은 ‘럼푼’이다. 미국에선 ‘트랭크’, ‘좀비 약’ 등 속어로 불리기도 한다.
NYT는 자일라진을 펜타닐 등 마약에 섞어 주사로 투입할 경우 부작용으로 팔다리 등이 괴사하는데 이를 제 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최악에는 절단할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타투 아티스트인 브룩 페더(38)는 NYT에 자일라진 혼합 마약을 투약했다가 괴사가 일어나 1년 전 오른쪽 다리를 절단했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그는 “금단증상을 견딜 수 없어 하루에 여러 차례 팔에 이런 마약을 주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NYT는 지난해 6월 발표된 연구를 인용해 미국 수도 워싱턴DC뿐 아니라 50개 중 36개 주에서 유통되는 마약에 자일라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특히 마약 유통이 성행하는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경우 현재 유통되는 마약 중 자일라진이 함유된 사례가 90%를 넘는다는 검사 결과도 나왔다.
문제는 실제로 어느 정도나 퍼져 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미국에서 이 약물은 동물용으로든 인간용으로든 규제약물로 지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엄격한 감시망에서 벗어나 있다.
보건당국 관계자들은 “뉴욕시에서는 마약 샘플 중 25%에서 자일라진이 나왔으나 실제로는 이보다 더 널리 퍼져 있는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 프란치스코 교황, 러 직격..."우크라전쟁은 하느님과 인류에 대한 범죄"
- 50만명 추가동원설에...러 대통령실 "이미 30만 동원, 더이상 없다"
- 뉴욕증시, 12월 물가·실적 시즌 발표 놓고 혼조
- 우크라 국가안보위원장 "러, 한반도식 분할 협상 원한다"
- 우크라-러시아, 전쟁 발발이후 약 3000여명 포로 교환
- 중국 아프간 탈레반과 '위험한 거래'...석유·가스 개발에 5.4억달러 투자
- 멕시코서 드라마 '수리남' 실제상황...마약왕 아들 체포작전서 29명 사망
- 이재명 “검찰 ‘답정기소’"…민주당, "정적 제거하려는 철권통치"
- 독해진 오세훈, 지하철 시위 전장연에 6억원 손배 소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