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포함 여부 미정, 남미만 시범 운영
정책 도입하면 OTT시장 수익 개선 기대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넷플릭스의 계정공유금지정책 적용시점이 1분기 말로 알려졌으나 국내 도입이 확정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남미지역에서 일부 시행 중인 이 정책의 효용성은 아직 실험 중이라는 입장이다.
넷플릭스의 계정공유금지정책 논란은 지난 1일 홈페이지에 공개된 신규 정책 공지로 불거졌다. 공지사항에는 계정공유금지정책에 대한 회사의 입장과 계획이 포함됐다. 이를 두고 국내 도입도 확정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다만 공지에는 국내 계정공유금지 정책 도입 여부와 시기 등이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넷플릭스 측도 “국내에서 계정 공유 제한 및 유료화를 적용할지 여부, 적용 시기 등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며 “넷플릭스의 기본 정책을 한국어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그동안 플랫폼 확산을 위해 계정공유를 장려해왔다. ‘계정 공유는 사랑입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기도 했다. 이후 폭발적인 성장에 성공했으나 지난해부터 실적이 급락하면서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따지기 시작했다.

계정 관련 정책 중 가장 먼저 손을 대는 부분이 계정 공유인 셈이다. 넷플릭스는 지난해부터 중남미 국가를 대상으로 가족 구성원 외 계정 공유 시 추가 요금을 내는 정책을 시범운영 중이다. 시범운영 결과에 따라 이를 확산할 방침이다.
관련 정책이 시행되는 것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업계에서 화제가 됐으나 일반 대중에게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국내 서비스정책 변경 공지가 퍼지면서 국내도 계정공유금지정책이 도입된다는 의견이 나온 것이다.
업계에서는 넷플릭스가 시기를 정하지 않았으나 빠르면 1분기 말에 국내에도 계정공유금지정책을 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중간광고 요금제 도입이 성과를 내는 상황에서 계정공유금지까지 실시해 확실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예상한다.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가 콘텐츠에 엄청난 투자를 하면서 성장했으나 요금제 문제가 발목을 잡는 중”이라며 “이용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요금제 세분화 정책의 일환으로 계정공유금지를 내세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초창기 넷플릭스 성장의 핵심이었던 계정공유가 금지되면서 이용자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며 “이를 무시하고 계정공유금지를 강행할 정도로 넷플릭스가 절박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코스피, 기관 매도세에 약보합 출발… 장중 '상승기류' 감지
- 하나은행, 모바일·인터넷뱅킹 이체 수수료 면제
- 국방부 전 대변인 "관저선정 때 역술인 '천공' 답사"
- 북한 핵·미사일 자금 넉넉...작년 암호화폐 2조원 훔쳐, 세계의 44%
- 전장연, 고통받는 시민에게 도움 요청?… 납득 안되는 '호소'
- 네이버, 지난해 8조원 매출 신기록… 영업이익 개선은 숙제
- [포토]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는 이재용 회장
- [포토] 부당합병·회계부정 속행 공판에 참석 중인 이재용 회장
- 우리은행, 모바일·인터넷뱅킹 타행이체 수수료 전액 면제 시행
- 캠코, 1067억원 규모 압류재산 공매
- IBK기업은행, 아마존 판매대금 정산서비스 ‘페이고스’ 가입 이벤트 시행
- LG유플러스, 2022년 영업이익 1조 돌파… 사업전반 순항
- 수요자 매수심리 살아나나… 서울 매매수급지수 5주 연속 '상승'
- 넷플릭스 급했나?… 아프리카·중남미 등서 구독료 '반값' 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