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기·가스·난방비 등 연료물가 32% 올라
식료품·비주류음료 한달 상승률도 2년만에 최고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지난달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가스·난방비 등 연료 물가가 1년 새 30% 넘게 상승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이 오르고 식료품·비주류음료의 한 달 상승률도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 지수는 135.7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7%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4월(38.2%) 이후 2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기, 가스 및 기타연료 물가는 소비자물가 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산출된다. 전기료, 도시가스, 취사용 액화석유가스(LPG), 등유, 지역난방비, 부탄가스 등 주로 가정에서 쓰는 연료들의 물가 동향을 보여준다.
전기료는 1년 전보다 29.5% 뛰었다. 이는 1981년 1월(36.6%) 이후 42년 만의 최고치다. 도시가스는 36.2% 올라 지난해 10∼12월과 상승률이 같았다. 이를 제외하면 1998년 4월(51.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역난방비 상승률은 지난해 10∼12월과 같은 34.0%였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5년 이후 최고치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4·7·10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인상됐다. 도시가스요금은 작년 4·5·7·10월에 인상됐다.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민 연료’ 등유는 1년 전보다 37.7%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지난해 7월 6.3%(전년 동월 대비 기준)를 정점으로 둔화하는 모습이지만 먹거리 등의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다.
지난달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1년 전보다 5.8% 올라 전월(5.2%)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특히 한 달 새 1.7% 상승했는데 이는 2021년 2월(2.2%) 이후 가장 많이 오른 것이다. 이상 한파로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고 가공식품도 오른 영향이다.
이런 가운데 필수 생계비로 꼽히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대중교통요금 등의 인상이 예고돼 체감 물가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 청주 대형사우나 화재, 1시간여 만에 진화… 92명 긴급 대피
- 테슬라 가격인하 내걸자, 중국 1월 판매량 18% 증가
- 한전·10개그룹사 사장단회의… "고강도 자구책 지속, 올해 3.3조 절감할 것"
- 전기차 보조금 '국산우대'… 아이오닉 6, 테슬라3보다 400만원 더 받아
- 추경호 "물가안정 위해 지방 공공요금 재정 인센티브 강화"
- 4인가구 전기요금 이달부터 11000원 오른다… 숨은 폭탄은 '누진세'
- 尹 지지율 2.3%p 오른 39.3%… 4주 만에 반등 [리얼미터]
- 尹 대통령 발언에… 서울시, 지하철·버스 요금인상 '하반기'로 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