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정기주총서 등기임원 보수한도 증액안 통과
노사 간 갈등확대 뇌관, 노조 측 올해인상률 불만
경기 침체·경영 불확실성 지속, '임단협' 난항 예고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등기임원의 보수한도를 17% 증액할 예정이다. 임직원 임금인상(기본 인상률 기준)의 경우 1%대 인상이 예고된 가운데 노사 갈등에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날 수원 컨벤션 센터에서 제54회 정기주주총회를 열었다. 회사는 이번 주총에 등기임원의 보수한도를 증액하는 안건을 상정했고, 이는 참석 주주들의 과반수 이상 동의를 얻어 가결됐다.
이에 등기임원의 보수한도는 480억원(일반보수 330억원, 장기성과보수 15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장기성과보수의 경우 70억원 증가하는 등 임직원 임금인상률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당장 삼성전자는 실적 부진 등의 여파로 사실상 임금 동결 수준의 연봉 인상률 추진하고 있다. 실제 사측이 제시한 기본임금 인상률은 올해 1%대다. 노조가 요구한 10%와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기본 인상률은 전 직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여기에 개인별 고과에 따른 성과 등이 더해진다. 지난해의 경우 평균 임금 인상률은 기본 인상률 5%와 성과 인상률 평균 4%가 반영돼 총 9%로 확정됐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노사 간 입장 차가 분명하다. 이에 노사 간 임금협상엔 험로가 예상된다. 당장 노조는 사측이 제시한 인상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등기임원 보수한도 증액 결정에 따라 노조의 반발 목소리도 커질 전망이다.
회사가 경기침체와 업황 불황 등을 이유로 1%대 인상률을 제시한 것 대비 극명한 온도 차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특히 노조는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는 만큼 적절한 수준의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침체한 경기 회복이 더딘 가운데 노사 간 갈등도 더욱 커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임단협 시즌 돌입으로 현재 각 기업은 비슷한 이유로 고심하고 있을 것”이라며 “경영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이 과정에서 노사 간 대립은 올해 기업들에 가장 큰 리스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