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조원’ 투자, 글로벌 반도체산업 주도권 확보 목표
용인에 메가클러스터 조성, 인재양성·수급 방안 필요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부지선정·착공까지 갈 길 멀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19년 4월30일 부회장 시절 경기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서 중장기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19년 4월30일 부회장 시절 경기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서 중장기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초격차 전략 중 하나로 경기도 용인을 중심으로 세계 최대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하기로 했다. 앞으로 20년간 총 300조원을 투자해 경쟁사인 대만의 TSMC 추격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삼성전자 2042년까지 경기 용인시에 세계 최대 시스템반도체 단지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첨단 반도체 생산공장 5개를 짓고, 소부장(소재·부품·장비)과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150개를 유치하겠다는 야심 찬 포부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시스템 2030 비전을 내놓은 바 있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은 파운드리분야 세계 1위 달성 목표를 가속하려는 전략이다. 대대적인 투자로 비메모리분야 사업에도 속도를 낸 삼성전자는 용인을 또 다른 거점으로 삼을 계획이다. 

용인 클러스터에는 대규모 파운드리 설비가 들어설 예정이다. 용인 팹이 가동되면 삼성전자는 경기 평택, 미국 오스틴시 및 테일러시 생산기지와 함께 생산능력에서 파운드리 세계 1위 TSMC를 바짝 쫓아갈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에 쏠린 회사의 반도체 사업 구조도 변화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이와 관련 삼성전자가 용인, 평택, 미국 테일러를 축으로 생산역량을 키워 글로벌 파운드리시장에서 벌어진 TSMC와 격차를 좁혀갈 것으로 내다봤다. 

미, 중 반도체 패권 다툼 속에서 삼성전자가 실리를 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삼성전자는 미국이 공개한 반도체지원법 상세조항으로 고심하고 있다. 파운드리 신공장 구축 등 투자를 진행 중이지만, '독소조항'으로 지적되는 미 정부의 과도한 요구가 문제다. 

용인클러스터 조성 계획 자체는 긍정적으로 여겨지지만, 국내 여건상 애로사항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인력 수급과 양성 문제가 대표적이다. 반도체 업계 간 인력 확보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상황이어서 투자 대비 전문 인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이 불안 요소다. 만성적인 인력난은 선제적으로 해결돼야 할 심각한 문제다.

부지 선정에도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수 있다. 국내 현실을 고려하면 개발제한구역 관련 규제 해제는 이해단체가 많아 속도를 내기 어려울 수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 부분에 대해서 “지역 균형발전 기조로 지방이 스스로 비교우위 분야를 선택하면 중앙정부는 이를 확실하게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가산단 구축으로 지역에서 첨단산업 육성을 주도하고, 중앙에선 그 계획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것으로 가장 큰 걸림돌인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앞당기겠다는 복안이다. 

우려되는 걸림돌들만 치워지면 용인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은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안팎에서의 기대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이미 기술적 부분에선 삼성전자가 TSMC에 한발 앞서 있다는 평가여서 생산능력만 갖춰진다면 시스템반도체 1위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토지 보상문제 등이 얼마나 빠르게 해결되고 부지 선정이 속도를 내느냐에 따라 삼성과 정부 구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하지만 파운드리 구축과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안이 나온 적은 이번이 처음이며, 정부 등의 의지가 강한 만큼 시스템반도체 성장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