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연수는 18억, 정교선은 15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해 유통업계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해 롯데제과와 롯데쇼핑, 롯데칠성 등 계열사 세 곳에서 54억원을 연봉으로 수령했다.
먼저 롯데제과 사업보고서를 살펴보면 신 회장은 급여 20억5000만원, 상여 3억6600만원 등 총 24억16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는 전년보다 2억3100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롯데쇼핑에서는 급여 15억9000만원, 상여 1억5000만원 등 17억4000만원을 받았다. 롯데칠성음료에서는 급여 10억9000만원, 상여 1억6000만원 등 12억5000만원을 수령했다.
이어 연봉이 많은 인물은 35억원을 받은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이다. 정 사장은 급여 18억7900만원, 상여 16억2900만원을 받았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과 부친인 정재은 신세계그룹 명예회장은 각각 14억9900만원의 연봉이 지급됐다.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은 총 17억88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급여 11억9700만원, 상여 5억9100만원을 받았다. 이는 전년보다 1억2400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정교선 현대백화점그룹 부회장은 총 14억9400만원을 수령했다. 급여 12억원, 상여 2억9400만원을 받아 전년보다 3300만원 늘었다.
식품업계 오너들도 수십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은 총 27억8700만원을 수령했다. 담 회장은 지난해 급여 13억3300만원, 상여 14억5500만원을 받았다. 담 회장의 아내 이화경 오리온그룹 부회장은 지난해 급여 10억3700만원과 상여 11억3100만원 등 21억6800만원을 수령했다.
신동원 농심 회장은 총 15억9573만원을 수령했다. 신 회장은 급여로 14억8100만원, 상여로 1억1310만원, 기타 근로소득으로 163만원을 받았다.
임세령 대상 부회장은 지난해 보수로 12억3633만원을 수령했다. 전년 11억800만원 대비 11.58% 증가한 금액이다. 임정배 사장은 6억6763만원을 받았다.
- 중국, 공무원 20만명 모집에 '사상최다' 770만명 지원
- 삼성전자, 올해 직원 임금은 1% 인상, 등기임원은 17%… 정말?
- 4대그룹 총수 중 연봉킹은 정의선… 작년 100억 돌파
- 조원태 회장 작년 급여, 두배 오른 52억원… 다른 임직원 연봉은?
- 은행 위의 증권사… 주요 10개사 평균 연봉 1억원 훌쩍 넘어
- 현대차 연봉 1억 생산직 서류접수 마감… 경쟁률 450대 1?
-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작년 연봉 35억… 15% 줄어든 이유는?
- 미국 체류 전두환 손자, 개인 라이브 방송 중 '마약 투약'
- "목표는 WK리그 11연속 재패"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올 시즌 새 유니폼 공개
- 신동빈 회장, 3년 만에 롯데칠성음료 사내이사 복귀
- 중국서 악몽 롯데쇼핑, 베트남에 거대쇼핑몰 추진… "랜드마크 될 것"
- 해외서 잘나가는 오리온, 시총 5조원 돌파… 식품업 1위 굳히나
- '고급 라면 원조' 신라면블랙의 반전… '생산중단'서 '세계 최고'로
- 현대백화점, 1분기 영업익 779억원… 전년비 12.4%↓ "고정비 증가영향"
- 미국서 라면 대박난 농심, 1분기 영업익 85.8% '껑충'
- 신동빈 롯데 회장 "부산 엑스포 유치에 역량 총동원"
- 롯데칠성음료, 천연 라임향 더한 '칠성사이다제로 블루라임' 선봬
- 농심, 정부 압력에 7월부터 신라면 50원·새우깡 100원 '인하'
- '취임 2주년' 신동원 농심 회장, "2030년 미국 매출 3배 성장 목표"
- '연인' 이정재·임세령, 루이비통家 며느리 모임 동반 참석
- 롯데칠성음료, 어린이 건기식 '크니쁘니 헬시키즈' 2종 선봬
- 소비 침체에 백화점 부진… 롯데쇼핑, 2분기 영업익 30.8% 감소
- "한·중·러 고른 성장" 오리온, 2분기 영업익 25.1% 증가
- 롯데쇼핑, '매출 17조·영업익 1조' 달성 핵심전략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