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연수는 18억, 정교선은 15억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사진=롯데그룹 제공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사진=롯데그룹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해 유통업계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해 롯데제과와 롯데쇼핑, 롯데칠성 등 계열사 세 곳에서 54억원을 연봉으로 수령했다.

먼저 롯데제과 사업보고서를 살펴보면 신 회장은 급여 20억5000만원, 상여 3억6600만원 등 총 24억16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는 전년보다 2억3100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롯데쇼핑에서는 급여 15억9000만원, 상여 1억5000만원 등 17억4000만원을 받았다. 롯데칠성음료에서는 급여 10억9000만원, 상여 1억6000만원 등 12억5000만원을 수령했다.

이어 연봉이 많은 인물은 35억원을 받은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이다. 정 사장은 급여 18억7900만원, 상여 16억2900만원을 받았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과 부친인 정재은 신세계그룹 명예회장은 각각 14억9900만원의 연봉이 지급됐다.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은 총 17억88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급여 11억9700만원, 상여 5억9100만원을 받았다. 이는 전년보다 1억2400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정교선 현대백화점그룹 부회장은 총 14억9400만원을 수령했다. 급여 12억원, 상여 2억9400만원을 받아 전년보다 3300만원 늘었다.

식품업계 오너들도 수십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은 총 27억8700만원을 수령했다. 담 회장은 지난해 급여 13억3300만원, 상여 14억5500만원을 받았다. 담 회장의 아내 이화경 오리온그룹 부회장은 지난해 급여 10억3700만원과 상여 11억3100만원 등 21억6800만원을 수령했다.

신동원 농심 회장은 총 15억9573만원을 수령했다. 신 회장은 급여로 14억8100만원, 상여로 1억1310만원, 기타 근로소득으로 163만원을 받았다.

임세령 대상 부회장은 지난해 보수로 12억3633만원을 수령했다. 전년 11억800만원 대비 11.58% 증가한 금액이다. 임정배 사장은 6억6763만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