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 가격도 한달새 7.1%↑
11년7개월만에 최고상승률

난방비 폭탄’으로 서민들의 공공요금 부담이 커진 가운데 수도 요금 물가가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난방비 폭탄’으로 서민들의 공공요금 부담이 커진 가운데 수도 요금 물가가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상수도료 물가지수는 109.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4.6% 올랐다. 2006년 1월(6.1%) 이후 17년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생산 단가 상승 등에 따른 요금 현실화를 이유로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 결과다. 서울시는 지난 1월부터 가정용 상수도 사용요금을 1㎥당 480원에서 580원으로 20.8% 인상했다. 욕탕용은 440원에서 500원으로 그 외 일반용은 1150원에서 1270원으로 각각 올렸다.

대구시는 지난 1월 납기분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을 1㎥당 580원에서 630원으로 8.6% 올렸다. 같은 기간 경기도 성남시도 약 18% 인상하는 등 지자체발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마시는 물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중 생수의 물가지수는 109.24로 한 달 새 7.1% 올랐다. 이는 2011년 7월(9.5%) 이후 11년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페트병 등 재료값과 인건비가 인상되면서 생수 출고가가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제주도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의 출고가를 지난달 평균 9.8% 인상하며 5년 만에 가격을 조정했다. 제주삼다수는 국내 생수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제품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