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수요 위축 지속에 양사 재고 급증해
증권가 "앵사 영업손실만 3조원대 이를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 글로벌 반도체 제품 수요 침체가 지속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1분기 실적 전망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양사의 재고자산이 증가하는 등 실적에 미치는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은 52조1879억원으로 지난해(41조3844억원) 대비 10조8034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재고자산 중 반도체 관련 재고는 29억원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업황 불황을 피하지 못했다. 관련 업계는 이들 기업이 주력으로 삼은 메모리반도체 제품의 공급과잉 현상이 아직 해소되지 못했고, 주문 자체가 감소함에 따라 재조자산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금리 인상 여파와 고물가 등 소비자 부담이 심화한 탓도 있다.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가전제품 등 소비 역시 위축이 심화하는 등 수요가 회복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이와 관련 재고 조정에 나섰지만, 올해 1분기 적자 전환이 예상된다. 메모리반도체 가운데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과 낸드플래시의 떨어진 가격도 이미 원가 수준을 보이는 등 이른 시일 내 반등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이에 증권가를 중심으로는 삼성전자 반도체부문과 SK하이닉스의 영업손실이 올 1분기 3조원 이상을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을 쏟아냈다. 평균판매단가 하락에 재고평가손실이 본격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될 것이란 진단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현재 가장 큰 문제는 반도체 재고가 많다는 것”이라며 “이를 줄이기 위해선 생산량을 줄이고 재고평가 손실도 반영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고정비 부담이 높아져 칩당 원가는 더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작년 말 기준 반도체 재고가 29조원이 넘을 정도로 과도해 당분간 실적에 부담은 계속될 될 전망”이라며 “실적 회복을 위해선 공포스러운 깊은 적자의 골짜기를 건너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당장 반도체 기업들이 추가적인 재고 증가 막는 동시에 시황 개선을 위해 감산 조치에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실적 발표 당시 감산 시행 방침을 밝혔으며, 삼성전자는 자연적 감산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 정부, '성착취 채권 추심' 피해 급증에 올 10월까지 특별단속
- 대한상의 "한·일 관계 정상화 국내 수출 감소세 회복에 큰 도움"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역량 총동원해 정책 진정성 국민께 알려야"
- 푸틴 대통령, 점령지 '마리오풀'서 지역 시찰·군 사령부 방문
- 삼성전자, 첫 CSA 회원사 미팅 참여… '스마트홈 대중화' 노력 소개
- 원희룡 장관 "건설현장 사고, 왜곡된 주장에 유감"
- 현대모비스, '크랩 주행' 가능한 전동화시스템 양산 목표
- 고 전두환 대통령 추징금, '55억원' 추가 환수 가능할까
- [날씨] 새벽 출근길은 '쌀쌀'… "낮부턴 기온 올라 일교차 크게 확대"
- 삼성전자, 광주 상무지구에 'C랩 아웃사이드 캠퍼스' 신설
- 보험사 작년 실적 희비 엇갈려… 생보 '흐림' 손보 '맑음'
- "난방비 이어 물폭탄" 상수도요금 17년 만에 최대폭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