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륜 독립구동 '인휠' 개발 성공, 연내 신뢰성 확보 나설 것"

현대모비스가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양산 사례가 없는 전기차 휠에 모터를 넣어 네 바퀴를 독립 제어하는 '인휠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사진=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가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양산 사례가 없는 전기차 휠에 모터를 넣어 네 바퀴를 독립 제어하는 '인휠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사진=현대모비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모비스가 각 바퀴에 구동 모터를 달아 동력 성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네 바퀴 독립 제어로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전동화시스템을 개발했다. 

차량 운전자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제자리 회전(제로턴)이나 게처럼 옆으로 이동하는(크랩주행) 특수한 움직임도 가능케 하는 기술로 평가받는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기술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현대모비스는 19일 차량 각 바퀴를 모터가 직접 제어하는 ‘4륜 독립 구동 인휠(In Wheel)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인휠 시스템은 구동모터와 제어기 기술이 핵심으로 회사는 관련 기술을 모두 자체 개발했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인휠 기술개발에 나섰다. 특히 인휠의 경우 전동화 모델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전 세계에서 양산 사례가 없는 신기술이다. 

차량 바퀴에 전기차 파워트레인을 넣는 개념이라 설계 과정이 까다롭고, 동력 성능과 내구성 화복 등 극복해야 할 과제도 많다. 현재 회사는 현재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 기반으로 개발 차량을 구성해 양산을 위한 신뢰성 검증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동력 효율 및 전비 향상 ▲항속 거리 증대 ▲주행 성능 개선 ▲ 특수 모션 구현 등이다. 차량에 인휠 시스템을 적용하면 드라이브 샤프트(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해주는 기계 부품)와 같은 별도의 동력 전달 부품을 사용할 필요도 없다. 

특히 전동화 차량의 주행 거리를 늘리는 데도 도움을 준다. 기존 구동시스템이 바퀴 안으로 들어가는 등 남는 공간을 활용해 배터리 용량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4륜 인휠 시스템은 전후좌우 효율적인 토크 분배를 통해 선회 성능 향상은 물론 약 20% 이상의 전비 개선 효과를 볼 수 있고, 제로턴이나 크랩 주행 등 특수 모션 구현도 가능하다.

오흥섭 현대모비스 전동화BU장(전무)는 “인휠 시스템의 양산이 가능하도록 올해 말까지 내구 신뢰성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라며 “미래 모빌리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 완성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