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안전이 최우선, 관리체계 다시 점검할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6일 인천 계양구의 한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타워크레인 사고와 관련 “일부의 주장과 달리 풍속은 강풍 기준에 훨씬 못 미쳤다”며 “건설 현장을 정상화하려는 정부 노력을 무력화하는 시도에 유감”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원 장관은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서 “건설 현장에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근로자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며 “일부 집단이 진실을 왜곡하고 있어 유감이며, 안전 관리체계를 다시 점검할 수 있도록 강력히 촉구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인천 계양구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는 타워크레인으로 옮기던 대형 거푸집이 바람에 날려 조종석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일각에선 타워크레인 기사의 안전조치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도 추가적 작업 지시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원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안전관리원)에서 타워크레인에 대한 점검 등 안전관리 현황과 충돌 사고조사의 중간결과를 보고 받았고, 조사 결과 작업 강행은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사고 당시 시간대의 1분 평균풍속은 초속 3.2m에 불과했으며, 타워크레인 풍속계 버저도 울리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사고 후 추가 작업 지시 여부와 관련해서도 타워크레인에 매달려있던 갱폼을 바닥에 착지시키는 필수적 조치뿐이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조종사의 사전 안전조치 요구가 무시됐고, 사고 이후에도 추가 작업지시가 있었다는 보도가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원 장관은 이와 관련 “현장 안전이 후퇴하고 있다는 의도적 거짓말과 왜곡된 선동이 발붙일 틈 없이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사고 원인에 대한 분쟁이 계속될 경우 타워크레인에 운행기록장치 설치 의무화 등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사고에 대한 최종 결론은 타워크레인 조종사 의견 수렴 및 충돌 시뮬레이션 등 추가조사 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