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지역과 함께 성장" 약속 실천
반도체 인재 육성 인프라 전국단위로 넓혀
선발학생들에 '장학금 지급·입사 기회'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과학기술원과 업무 협약식을 갖고 반도체 계약학과 설치에 대해 합의했다.
수도권에 편중된 반도체 인재 양성 인프라를 전국 단위로 확장하기 위한 조치로 입학한 학생들에게는 삼성전자 입사 등의 혜택을 내걸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27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삼성전자와 과기원 세 곳은 올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선발 인원은 울산 40명, 대구 30명, 광주 30명 등 연간 100명으로 앞으로 5년간 총 500명의 반도체 관련 인재가 집중 육성될 것으로 보인다. 석사 교육을 통합한 ‘학·석사 통합 반도체 계약학과’ 과정으로 신설학과가 운영된다.
앞서 지역과의 동반 성장을 강조해 온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철학이 반영된 것으로 선발 학생 전원에게는 등록금이 포함된 장학금 지급은 물론 졸업 시 삼성전자 입사 기회 등의 기회가 주어진다.
업계에선 해당 협약으로 국내 반도체 핵심 분야의 인재가 골고루 양성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된 것으로 평가한다. 실제 학생들은 반도체 클린룸 실습 등 ‘현장 중심 교육’을 바탕으로 반도체 설계와 소프트웨어(SW)와 같은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받게 될 전망이다.
또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인턴으로 실습할 기회도 제공되며, 삼성전자 임직원들은 멘토로 참여해 학생들의 성장을 뒷받침한다. 회사는 이와 함께 일부 계약학과의 정원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2029년부터는 매년 7개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반도체 전문 인재 450명이 배출될 전망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2006년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2021년 연세대, 지난해 카이스트(KAIST), 올해 포스텍과 각각 반도체 계약학과를 설립한 바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신설 학과들은 지역 반도체 인재 양성 허브 역할을 하는 등 국내외 기업들과 우수 인재들의 수도권 쏠림이 완화되고, 이를 통해 지역의 반도체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체계가 실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