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중국서 공수된 빈 병 배송경로 역추적, 소재파악 중
일당, 피해 학부모에게 전화로 협박… '국내 번호'로 변작
마약류 관리법 위반 혐의를 받는 2명 10일 영장실질심사
마약음료를 나눠준 4명 체포·자수… "마약 음료인줄 몰라"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경찰이 강남 학원가 ‘먀악음료’ 사건을 수사 중인 가운데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일당의 조직적 범행일 가능성도 제기했다.
9일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는 마약음료 제조 ·전달책 길모씨와 협박전화 번호 조작에 가담한 김모씨를 상대로 범행을 지시한 ‘윗선’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있다. 경찰은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 A씨가 길씨에게 필로폰과 우유를 섞어 마약음료를 제조하도록 지사한 단서를 잡았다.
경찰은 중국에서 공수된 빈 병의 배송경로를 역추적하는 등 공범들 소재파악에 나선 상태다. 지정된 장소에 마약을 가져다 두는 수법으로 필로폰을 구했다는 길씨의 진술에 따라 필로폰 판매책과 이번 범행을 꾸민 조직의 연관성도 추적하는 중이다.
길씨는 강원 원주시에서 제조한 마약음료를 고속버스와 퀵서비스를 이용해 서울에 위치한 아르바이트생 4명에게 보낸 혐의(마약류관리법 위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경찰은 일당이 피해 학부모에게 협박전화를 거는 과정에서 중국 인터넷전화 번호를 국내 번호로 변작한 혐의로 김씨의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은 마약음료를 담은 빈 병이 중국에서 건너온 점과 학부모들에게 걸려온 협박전화 발신지가 중국이라는 점, 현재까지 검거된 인물 가운데 상당수가 중국 보이스피싱 조직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경찰은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우회 인터넷주소(IP)를 사용해 아르바이트생을 모집하고 마약음료 현장 유포를 지시한 중간책들도 추적하는 등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서울중앙지법 이민수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오는 10일 오후 3시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를 받는 20대 남성 A씨,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 B씨 등 2명에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3일 20∼40대 남녀 4명이 서울 강남구청역과 대치역 인근에서 ‘집중력 강화 음료’ 시음 행사라며 학생들에게 마약음료를 건넸다. 이들은 구매 의사를 확인하는 데 필요하다며 학생들에게 부모 전화번호를 받아 갔다.
피해 학부모들은 이후 조선족 말투를 쓰는 일당으로부터 자녀가 마약을 복용했다고 경찰에 신고하거나 학교에 알리겠다는 내용의 협박 전화를 받았다. 현재까지 마약음료를 마신 피해자는 학부모 1명을 포함해 총 8명이다.
현장에서 마약음료를 나눠준 4명은 지난 5∼6일 모두 경찰에 체포되거나 자수했다. 이들은 경찰에서 인터넷에서 아르바이트 모집 광고를 보고 지원했을 뿐 마약 성분이 든 음료인줄은 몰랐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 못믿을 미국 "CIA, 우크라 살상무기 지원 관련 한국 정부 감청했다"
- 중국 인민해방군, 대만 포위공격 실전 훈련...전투기 58대 동원
- '강남 납치·살해사건' 재력가 부부도 공모 관계… 부인 구속영장 신청
- 중국 이기려면 '인재 필수'… LG엔솔, 미국서 영입 나섰다
- 러, 지난 1년여간 미사일·드론 1200발로 우크라 전력시설 파괴
- '9번째 줍줍' 칸타빌 수유팰리스, 미분양 물량 35% 할인 판매
- 서울 13개단지 분양권 전매제한 풀렸지만… '실거주의무 족쇄' 여전
- '비상 경고'에도 부동산 PF 잔액 1년 새 17조원 증가… 총 130조원
- 마약·보이스피싱 결합범죄 첫사례… "중국서 반년 전부터 계획"
- 정부, 마약·전세사기 근절에 "필수 예산 반드시 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