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미디어그룹 싱클레어에 공급
미국을 시작으로 'ATSC 3.0' 기술 도입해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UHD 방송 표준인 ATSC 3.0의 데이터 송출 기능을 지원한다. 사진=SK텔레콤 제공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UHD 방송 표준인 ATSC 3.0의 데이터 송출 기능을 지원한다. 사진=SK텔레콤 제공

[서울와이어 최찬우 기자] SK텔레콤이 미국 최대 미디어그룹 싱클레어에 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방송 송출 플랫폼을 판매해 미국 방송시장 진출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모바일 에지 컴퓨팅은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와 가까운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이다. SKT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기술, 방송 송출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가상화해 중앙 방송국이 지역 방송을 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개발해 판매한다.

SKT의 플랫폼은 글로벌 정보기술(IT)기업 델 테크놀로지스의 서버에 SKT의 MEC 솔루션과 SK스퀘어와 싱클레어의 합작사인 캐스트닷에라의 방송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미디어 송출 장비를 가상화해주는 제품으로 이번에 처음 방송시장에 선보인다.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중앙 방송국을 각 지역의 방송 송출 시스템들과 연결하는 가상화 기술이다. 기존 지역 방송국은 채널을 늘리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면 관련 방송 송출 장비를 새로 구매 및 설치해야 하는데 해당 플랫폼은 장비 구매 비용을 줄이고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UHD 방송 표준인 ATSC 3.0의 데이터 송출 기능을 지원해 방송사가 원하는 일정에 맞춰 방송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 방송 서비스에 더해 지역 맞춤형 광고, 재난 등 비상상황에 실시간 알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SKT는 ATSC 3.0 기반 방송이 상용화된 북미와 국내 방송국을 대상으로 미디어 에지 플랫폼 시장을 확대하고 ATSC 3.0을 도입 예정인 글로벌 방송 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SKT는 5G MEC에 특화된 다양한 플랫폼을 델의 글로벌 판매망을 활용해 해외 진출에 활발히 나서고, 5G MEC 솔루션을 단순히 판매하는 수준을 넘어 컨설팅, 인프라 구축,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5G E2E사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하민용 SKT 최고사업개발책임자는 “북미 대표 방송사인 싱클레어, 글로벌 판매망을 갖춘 델과의 협력을 통해 미국을 시작으로 차세대 방송 서비스 혁신을 전세계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델 팍스 싱클레어 기술총괄 사장은 "SKT 및 캐스트닷에라와의 협력을 통해 구축한 최첨단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활용해 미국 방송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