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시황 개선 전망, 수익성 개선 총력 다짐

삼성전기 수원사업장 전경. 사진=삼성전기 제공
삼성전기 수원사업장 전경. 사진=삼성전기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 1분기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는 경기침체 영향으로 국내 전장, 정보통신(IT) 부품기업들의 실적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의 1분기 영업이익은 60% 하락하는 등 동반 부진했다.  

삼성전기는 지난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 218억 원, 영업이익 1,401억 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950억원(23%), 영업이익은 2704억원(66%) 감소했다.

회사는 전략거래선의 플래그십 신모델 출시로 고부가 부품 공급이 확대됨에 따라 전분기 대비 매출은 성장했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PC 등 IT 기기의 수요 약세 상황이 지속돼 실적이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삼성전기는 올 2분기는 각 사업별 전장용 비중 확대 및 거래선 다변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또 중화 등 해외 거래선의 신제품 출시 등 소형·초고용량 MLCC 등 고부가 제품 판매를 확대할 예정으로 매출도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의 경우도 올 2분기 계절적 비수기가 예상되지만, 해외 거래선에 고성능 카메라모듈과 자율주행 등 전장용 제품의 공급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회사는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서 시장 내 재고조정이 일정 수준 진행됐다고 분석했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전장용 부품에 대한 수요와 주요 거래선의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효과로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며 “하반기 중국의 리오프닝 가시화 등으로 전반적인 IT 부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실적 개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LG이노텍 공장 전경. 사진=LG이노텍 제공
LG이노텍 공장 전경. 사진=LG이노텍 제공

같은날 실적을 발표한 LG이노텍이 올 1분기 영업이익도 급감했다. LG이노텍은 이날 연결기준 매출 4조3759억원, 영업이익 1453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60.4% 감소한 수치다.     

LG이노텍 관계자는 “계절적 비수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영향”이라면서도 “고객사의 신모델 스마트폰용 고성능 카메라 모듈 공급이 증가했고,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관련 수요가 확대되는 등 전기차용 파워, 조향용 모터 중심으로 공급이 늘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했다.

세부적인 사업 부문별로 광학솔루션사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5% 증가한 3조5447억원을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와 스마트폰 전방 수요 둔화에도 고성능 카메라모듈 공급 비중이 증가하면서 선방한 실적을 올렸다. 

기판소재사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330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방산업인 스마트폰, PC 등 IT 수요가 부진한 탓에 수익성이 대폭 줄어들었다. 전장부품사업은 전기차·자율주행차용 부품인 배터리관리시스템과 통신모듈 등의 판매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381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LG이노텍은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전장부품사업 관련 전략에 대해 “제품·고객 구조의 정예화,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역량 강화, 플랫폼 모델(커스터마이징을 최소화하는 범용성 제품)중심의 개발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