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 수혜 기대감, "현지 캐파 확대 등 여러 가능성 염두에 둬"

LG화학 충남 대산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 충남 대산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화학이 27일 올해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14조4863억원과 영업이익 7910억원의 잠정 경영실적 발표했다.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에 약진이 눈에 띈다. 실제 이 회사는 북미시장 이차전지 수요 확대에 힘입어 호실적 행진을 이어갔다.

이에 회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2.8% 감소했다.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한 LG화학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조5286억원, 141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부별 실적에 따르면 석유화학부문에 부진이 지속됐다.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와 전방산업 부진으로 영업손실 508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회사는 지난해 4분기 정기보수 이후 가동률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 폭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2조5614억원, 영업이익 2,027억원을 달성했다. 전지재료 수요가 회복되며 큰 폭의 매출 성장을 보였고, 주요 제품의 수익성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앞으로 메탈 가격 하락세가 우려되지만, 재고관리 및 고부가 소재 판매로 수익성을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생명과학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2780억원, 164억이다. 성장호르몬, 백신 등 주요 제품의 판매 확대, 에스테틱사업의 수요 회복세 등으로 견조한 실적을 거뒀다. 여기에 편입된 미국 아베오(AVEO)의 연결 실적 반영은 매출 성장으로 이어졌다. 

이차전지를 통해 글로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5분기 연속 매출 성장세를 나타내며, 전체 실적을 뒷받침했다. 특히 북미시장 내 수율 향상 및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제 혜택 예상 금액 반영 등은 실적 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LG화학은 실적과 앞으로 업황 전망 관련해 “전사업부문에 걸쳐 매출 및 수익성이 개선됐다”며 “올 2분기 불확실한 매크로 상황이 지속되겠지만, 석유화학의 점진적인 수요 회복 및 첨단소재, 에너지솔루션의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도 이날 컨퍼런스 콜에서 “IRA이 올해부터 본격화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여러 기회요인이 있을 것”이라며 “규제 대응을 위해 미국 현지 생산능력(CAPA) 확대에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리튬인산철(LFP) 양극재사업 추진 등을 언급하면서 “3대 신성장동력(친환경 소재, 전지 소재, 신약 사업) 확대는 흔들림 없이 진행 중으로 여러 부문에서 점진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