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청주 양극재공장 방문… 권봉석 ㈜LG 부회장 등 동행
방미 전 현장경영 나서,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중요성 강조

구광모 LG그룹 회장(왼쪽부터 세번째)이 지난 17일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 부회장 등 핵심 경영진과 충청북도 청주 소재 양극재공장을 방문해 생산라인 등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LG 제공 
구광모 LG그룹 회장(왼쪽부터 세번째)이 지난 17일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 부회장 등 핵심 경영진과 충청북도 청주 소재 양극재공장을 방문해 생산라인 등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LG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지난 17일 배터리 소재 공급망과 생산전략 점검을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 LG화학 양극재 공장을 찾았다.

이달 말 대통령 방미를 앞두고 이뤄진 현장경영은 글로벌 배터리 소재시장 변화 등에 따른 선제적 대응 방안 마련의 필요성 때문으로 보인다.

18일 LG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의 현장 방문엔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 부회장, 홍범식 ㈜LG 경영전략부문장(사장), 이향목 LG화학 양극재 사업부장(부사장) 등이 동행했다. 

청주공장은 LG화학 양극재 생산의 핵심 기지로 글로벌 생산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양극재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생산현황과 글로벌 공급망 전략 등을 점검했다.
 
양극재의 경우 배터리 생산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배터리의 용량, 수명 등 성능을 결정하는 필수 소재다. 

구 회장은 이날 현장에서 “양극재는 배터리사업의 경쟁력 기반이자 또 다른 미래 성장동력으로 경쟁우위를 지속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핵심소재 생산을 책임지는 청주공장 구성원들을 격려했다. 

현재 청주공장에서 연간 생산할 수 있는 양극재는 올해 기준 약 7만톤 규모다. 이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EV, 500km 주행 가능) 약 70만 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구 회장은 이번 방문을 통해 급성장하는 전기차 배터리시장의 글로벌 공급망 전반을 두루 챙겼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와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과 관련한 대응 방안도 논의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은 이와 관련 배터리산업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변동성이 크다는 점에서 센싱 역량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갖춰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LG 측은 “청주공장 등 글로벌 생산라인에서 연간 12만톤 규모의 양극재를 생산 중”이라며 “글로벌 전기차업체 수요에 대응해 생산 능력을 높여 나가고 있으며, 회사는 양극재 등 전지소재사업 매출을 2027년까지 지난해 4배 수준인 약 20조원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