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3년간 2030 세대의 빚이 가장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 차주 수는 총 1490만명,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2000억원에 달했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 은행권 가계대출 차주는 1270만명, 대출 잔액은 766조8000만원이었다. 3년새 차주는 17.3%, 잔액은 17.7% 증가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30세대인 '30대 이하'의 대출이 급증했다. 이들 연령층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은행권과 2금융권을 합해 총 514조5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2019년 4분기 404조원보다 27.4% 늘어난 수치다.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율은 60대 이상(25.5%), 40대(9.2%), 50대(2.3%) 등 나머지 모든 연령층보다 높았다.
연체율도 소폭 상승했다. 은행과 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4분기 0.1%포인트 오른 0.5%를 기록했다.
양 의원은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한 청년층의 대출이 너무 많이 늘었다"며 "높은 금리와 물가 속에서 이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연체가 늘어나면 소비까지 줄어 금융은 물론 경제 전반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