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에 용퇴의사 밝혀, '3세 경영' 본격화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이 일선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최근 경영진에게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금호석유화학 제공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이 일선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최근 경영진에게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금호석유화학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이 일선 경영에서 물러난 뒤 무보수 명예회장직을 맡는다.

5일 재계에 따르면 박 회장은 경영진에게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의 용퇴 결정에 그룹의 2세 경영은 막을 내리고 3세 경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주인 고 박인천 회장의 4남으로, 1976년 한국합성고무(현 금호석유화학)에 입사해 47년간 석유화학사업 등을 총괄했고, 계열을 분리해 나와 독립 경영을 해왔다, 

실제 친형인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대한통운(현 CJ대한통운)·대우건설 인수 과정에서 빚어진 갈등으로 2009년부터 이른바 ‘형제의 난’을 겪는 등 금호가(家)는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금호석유화학으로 분리됐다.

최근까지도 오너가 분쟁으로 상표권 맞소송을 비롯한 고발전이 벌어졌고, 수년간 대립 관계를 지속해온 상황이다. 이들 형제는 오랫동안 법적 분쟁을 벌여왔으나 지금은 화해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금호석유화학에선 박찬구 회장이 일선에 물러남에 따라 아들인 박준경 사장의 역할이 기존보다 확대될 전망이다. 박 사장의 경우 2007년 금호타이어에 입사해 2010년 금호석유화학으로 자리를 이동했다. 

이후 2021년 6월 부사장으로 승진한 뒤 1년 반만인 지난해 인사에서 사장 타이틀을 달았고, 같은 해 7월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선 사내이사에 선임되며 이사회에 합류했다. 

지분 7.21%를 보유한 주주인 박 사장을 중심으로 그룹의 3세 경영체제로 전환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찬구 회장의 경우 2021년 6월 대표이사와 등기이사에서 스스로 물러난 바 있다. 이어 올해 일산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면서 앞으로는 무보수 명예회장직을 맡으며 3세 경영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