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인상 문제, 잇따른 내부의혹 잇따라 궁지
정 사장, 고강도 자구책 발표 후 '사퇴 의사' 전달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2일 나주 본사에서 '비상경영 및 경영혁신 실천 다짐대회'에 참석해 고강도 자구 대책 등을 내놨다. 사진=한전 제공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2일 나주 본사에서 '비상경영 및 경영혁신 실천 다짐대회'에 참석해 고강도 자구 대책 등을 내놨다. 사진=한전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전이 12일 오전 정승일 사장이 사의를 표명했다며 곧 입장문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한전은 고강도 자구책까지 내놨지만, 전기료 인상 문제와 관련 정부 등의 압박을 받아왔던 정 사장은 사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모양새다. 

정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한전 자구안이 발표된 날 사의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정 사장은 “오늘 이 자리가 여러분에게 당부를 전하는 마지막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등 정치권에서 지속적으로 사퇴 압박을 받았던 그는 거취 문제에 고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통령 방미 일정에 동행하는 경제사절단 명단에 빠지는 등 ‘패싱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에 관련 업계와 일각에선 최근 적자 해소를 위해 줄곧 전기료 인상 필요성을 주장해온 정 사장과 정부 간 불편한 관계가 조성된 점이 이번 사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영난은 물론 여기에 한전 직원의 태양광사업 비리 의혹,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 감사 은폐 의혹 등이 잇달아 터지면서 정 사장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사실상 그가 올해 2분기 전기요금 결정 보류 후 한전의 적자난 등에 총대를 멘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정치권을 비롯한 윤석열 대통령도 정 사장의 퇴진을 압박하는 뉘앙스를 취했다. 실제 윤 대통령은 “탈원전, 이념적 환경 정책에 매몰돼 새로운 국정 기조에 맞추지 않고 애매한 스탠스를 취한다면 과감하게 인사조치 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업계에선 그가 문재인 정권 인사라는 점에서 이 같은 압박을 견디지 못했을 것으로 분석한다.

한편 산업부 주요 보직을 거쳐 한국가스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정 사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5월 한전 사장에 임명됐지만, 내년 5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결국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