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EU 시장점유율 '2020년 14.9%→2022년 34.0%'
CATL, EVE에너지, BYD 공장설립 등 투자 발표 잇따라
무협 "향후 1~2년, 유럽시장 판도 좌우할 결정적 시기"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유럽시장 공략이 매섭다. 국내 기업들의 유럽시장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상황으로, 정부의 전략적 자금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4일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국내 기업들의 유럽시장 점유율 하락을 막기 위해 정부 지원 필요성을 언급했다.
무협에 따르면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으로 미국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중국 기업이 유럽연합(EU)에 대한 투자를 빠르게 확대하는 상황이다. EU도 중국 기업 투자 유치에 개방적이다.
무협이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를 참고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EU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2020년 14.9%에서 지난해 34.0%로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68.2%에서 63.5%로 소폭 하락했다.
EU는 역내 배터리 제조역량을 강화하고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배터리 기업의 투자를 적극 유치 중이다. 최근 중국 배터리 기업인 CATL, EVE에너지, BYD, CALB 등은 헝가리, 독일, 프랑스 등 지역에 배터리 공장 설립 계획을 밝혔다.
EU의 역내 배터리 소재와 장비 공급 역량 부족도 주요 회원국들이 배터리기업 유치에 나선 배경으로 꼽힌다. 2030년이면 EU가 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의 4분의 1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무역협회는 EU 자동차기업과 배터리 업체의 제휴가 본격화되는 향후 1~2년을 유럽 배터리시장의 판도를 좌우할 결정적 시기로 내다봤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 확대는 우리 기업들에게는 상당한 위협이다.
무협은 “공장 건설과 수율 확보를 위한 시운전 기간 등을 고려하면 향후 1∼2년 내 수주 경쟁의 결과가 5∼6년 이후의 시장점유율을 좌우하게 된다. 단기적인 자금 조달 능력이 수주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우리 정부와 기업이 신속한 대응에 나서지 않는다면 중국 정부의 자금 지원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기업에 추월당할 우려가 있다”며 “자금 지원 확대, 핵심 광물 공급망 확충, 투자 세액 공제의 실효성 강화 등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