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년만에 창립 당시 이름으로
4대 그룹 재가입 아직 '불투명'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이름을 변경하고 본격 쇄신에 나섰다. 사진은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사진=서울와이어 DB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이름을 변경하고 본격 쇄신에 나섰다. 사진은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이름을 변경하고 본격 쇄신에 나섰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지난 1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경련 혁신안에 대해 발표했다. 윤리경영위원회를 설치해 정경유착을 차단하는 거버넌스를 갖추고 한국경제연구원 흡수통합, 회장단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61년 전경련이 설립될 당시 사용했던 명칭이다. 창립 때 회원 수 13명으로 시작한 단체가 160여개사로 늘어나 회원과 활동이 사실상 전국적으로 확대돼 1968년 전경련으로 명칭을 바꿨다.

전경련 관계자는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국가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한국 재계의 맏형 역할을 해왔으나 2016년 불거진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4대 그룹(삼성·SK·현대차·LG)이 회원사에서 탈퇴하는 등 덩치가 작아졌다. 적폐 청산을 외친 문재인 정부는 전경련을 대놓고 패싱했다.

전경련이 강한 혁신 의지를 내비치는 건 탈퇴한 4대 그룹을 다시 끌어안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다만 4대 그룹의 재가입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 이들은 전경련의 혁신 방안과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김 회장 직무대행은 “자유시장경제를 단단히 하는 기구로 거듭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4대 그룹도 재가입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며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4대 그룹과 상당한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기 회장 선임에 관해선 “전경련 모습이 바뀔 때 모셔야 하기에 아직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