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년만에 창립 당시 이름으로
4대 그룹 재가입 아직 '불투명'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이름을 변경하고 본격 쇄신에 나섰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지난 1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경련 혁신안에 대해 발표했다. 윤리경영위원회를 설치해 정경유착을 차단하는 거버넌스를 갖추고 한국경제연구원 흡수통합, 회장단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61년 전경련이 설립될 당시 사용했던 명칭이다. 창립 때 회원 수 13명으로 시작한 단체가 160여개사로 늘어나 회원과 활동이 사실상 전국적으로 확대돼 1968년 전경련으로 명칭을 바꿨다.
전경련 관계자는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국가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한국 재계의 맏형 역할을 해왔으나 2016년 불거진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4대 그룹(삼성·SK·현대차·LG)이 회원사에서 탈퇴하는 등 덩치가 작아졌다. 적폐 청산을 외친 문재인 정부는 전경련을 대놓고 패싱했다.
전경련이 강한 혁신 의지를 내비치는 건 탈퇴한 4대 그룹을 다시 끌어안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다만 4대 그룹의 재가입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 이들은 전경련의 혁신 방안과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김 회장 직무대행은 “자유시장경제를 단단히 하는 기구로 거듭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4대 그룹도 재가입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며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4대 그룹과 상당한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기 회장 선임에 관해선 “전경련 모습이 바뀔 때 모셔야 하기에 아직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말했다.
- DL건설 "전문기관 협업으로 보건관리 역량 향상시킨다"
- 경제 6단체장, 방한한 일본 총리와 면담… "민간기업 간 교류 확대 논의"
- 공유모빌리티 스윙, '한국판 우버' 노린다
- LG전자, 국내외 협력사 50곳 ESG 역량 강화 나선다… 'EU 공급망 실사법' 등 대응 지원
- 정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한일 '공급망' 협력… 교류확대 속도
- 4대그룹 7년 만에 전경련 복귀 할까말까 '알송달송'
- 5대그룹 총수, 일본 재계와 회동...이재용 회장 "친구는 많을수록 좋아"
- 이재용·최태원·정의선, 윤 정부 일 경제협력 강화 '조력자'로 나선다
- 4대그룹 전경련 복귀 가시화?… 삼성 재가입은 "아직 논의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