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사격임무 수행 중 조류와 충돌
수리비용, 전투기 가격인 1000억원대 수준
공군 "경제·안전성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해 1월 청주기지를 이륙, 사격장 진입을 위해 약 330m 고도에서 비행하던 공군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A가 독수리와 충돌로 입은 손상으로 폐기가 유력한 상황이다.
해당 전투기의 가격은 1100억원대이지만 손상 복구 수리비만 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지난 22일 F-35A 전투기 사고와 관련 “당시 조류 충돌과 동체 착륙, 화재 등으로 (F-35A) 항공기 엔진 및 기체·기골의 다수 부위가 손상됐다”며 “수리 비용과 복구 방안 등에 대해서 미국 정부 사업단 및 제작사 록히드마틴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F-35A는 지난해 1월4일 공대지 사격임무 수행차 청주기지를 이륙한 뒤 사격장 진입을 위해 약 300m 고도에서 비행하던 중 독수리와 충돌했다. 충돌 여파로 독수리는 좌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기체 격벽을 뚫고 무장적재실 내부까지 들어갔다.
이 사고로 이착륙 때 제동 역할을 하는 랜딩기어 작동 유압도관과 전원 공급배선, 바퀴 등이 파손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고, 전투기 조종사의 경우 서해 해안선을 따라 서산기지로 접근해 활주로에 무사히 동체 착륙했다.
현재 공군은 수리비 부분에 대해서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손상 정도가 심각하고, 전투기 가격 대비 수리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당장 공군 측은 수리 복구 여부가 결정된 뒤 항공기 활용계획을 정할 방침으로 “경제성과 안전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현호 기자
hs1042@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