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임시주총서 사명 관련 정관변경건 가결
사내·사외이사 선임건 통과, 경영진 구성 마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45년만에 사명 교체를 확정했다. 한화그룹과 인수합병(M&A) 절차도 마무리했다.
대우조선해양은 23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사명을 ‘한화오션’으로 변경하는 정관 변경안을 통과시켜 새 간판으로 새 출발을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 옥포조선소에서 출발했으며, 이후 1978년 대우그룹에 인수됐다. 회사의 사명은 대우조선공업으로 이름을 바꿨고 현재 대우조선해양이라는 사명은 2002년부터 사용됐다.
임시 주총에는 사명 변경 건 이외에도 사내이사 3명과 기타 비상무이사 1명, 사외이사 5명 등 9명의 이사와 감사위원을 선임하는 안건도 상정돼 모두 가결됐다. 한화오션 초대 대표이사에는 권혁웅 (주)한화 지원부문 부회장이 선임됐다.
미국 조지 H.W 부시(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의 손자이자 젭 부시 전 플로리다주지사의 아들 조지 P. 부시(마이클 앤 프리드리히 로펌 파트너), 이신형 대한조선학회 학회장, 현낙희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 김재익 전 KDB인프라자산운용 대표이사, 김봉환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등은 사외이사로서 회사 도약을 지원할 예정이다.
임시 주총을 끝으로 사실상 한화·대우조선해양 간 M&A 과정은 최종 완료됐다. 한화그룹은 임시 주총에 이어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주금 납입을 마칠 계획으로 지분 49.3%를 확보해 대주주 자리에 올라선다.
인수 절차가 최종 마무리되는 만큼 그룹에 편입된 한화오션의 경영정상화 속도는 빨라질 전망이다. 한화는 한국판 ‘록히드마틴’ 을 목표로 대우조선해양과 결합,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데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도 기타비상무이사로서 회사의 경영정상화를 전방위로 지원하게 된다. 초대 대표 권혁웅 부회장 체제 속 한화오션은 앞으로 함정 위주의 수주 전략을 앞세워 안정된 일감 확보로 올해 흑자전환을 이룬다는 각오다.
- 대우조선해양, 1분기 영업손실 628억원… 전년비 적자 폭은 감소
- 한화오션으로 간판 바꾼 대우조선, 최강 경영진 구축… 조선 '삼국지' 달아올랐다
- 대우조선, 이달 23일 임시주총 소집… 새 사명 '한화오션' 단다
- 한화, 대우조선 인수 매듭… 조선산업 어떻게 재편되나?
- [메타센서] 7조 세금 먹은 골칫덩이 대우조선, 한화 품에서 비상할까
- [메타센서] 중국 마이크론 금수 현실화… K반도체 득실은?
- 한화 "전 세계 에너지사업 현장, 광고 캠페인에 담았다"
- 한화오션 노사, '아름다운 상생' 선언
- 한화오션, 대규모 채용으로 인재 확보에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