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한전 등 유간기관과 여름철 전력수급 방안 논의
'전력 수급대책기간'도 지난해 대비 일주일 가량 앞당겨

정부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한국전력공사(한전) 등 유관기관가 전력 공급 안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정부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한국전력공사(한전) 등 유관기관가 전력 공급 안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전력 사용량 집중 관리 체제로 조기 전환할 예정이다. 올여름은 평년보다 덥고 습할 것으로 예상돼 관련 당국은 전력수급대책 기간도 기존보다 앞당겨 시행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여름철 전력수급 준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한국전력공사(한전)와 전력거래소를 비롯한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고, 이들은 전력 공급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한전 등은 이른 무더위가 시작되는 점을 감안해 전력수급대책 기간을 다음 달 마지막 주부터 조기에 시작하기로 했다. 지난해의 경우 휴가 시즌에 맞춰 7월4일부터 시행됐지만, 올해는 이를 일주일가량 앞당겼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전력 유관기관과 함께 다음 달 26일부터 ‘전력수급 종합 상황실’을 운영하고 24시간 집중 관리에 나설 계획이다. 최대 전력 수요를 넘어서는 등의 ‘블랙아웃’(대정전) 상황을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인 셈이다.

실제 지난해는 8월이 아닌 7월7일 93메가와트(㎿)의 최대 전력 수요가 발생한 바 있다. 여름철 전력 수요는 기온에 따라 달라지며, 산업부는 최근 기온 변화 추세와 기상 전망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 

이호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국민의 전력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모든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며 “7월에도 전력 피크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발전용 연료 사전 확보 등 여름철 전력수급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회의 참석 기관들에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