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김 계약액 475억원… 전년비 109%↑
반찬용 조미김·김자반 등 수요 증가 영향

해양수산부는 지난 23∼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3년도 대일 한국 김 수출 입찰·상담회’에서 1050억원 규모의 김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지난 23∼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3년도 대일 한국 김 수출 입찰·상담회’에서 1050억원 규모의 김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한국 김이 일본 입맛을 사로잡았다. 올해 일본으로의 김 수출 계약액이 1000억원을 넘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3∼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3년도 대일 한국 김 수출 입찰·상담회’에서 지난해보다 61.5% 증가한 1050억원 규모의 김 수출계약을 체결하며 역대급 성과를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김 수출 입찰·상담회는 한국수산무역협회와 전국가공해태협동조합연합회 등 김 관련 5개 단체가 주관했다. 올해는 4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돼 예년보다 많은 바이어가 참여했다.

특히 지난 몇 년간 일본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던 마른김의 계약이 늘었다. 올해 마른김 계약액은 47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09.3% 상승했다. 계약량은 5억6000만장으로 52.5% 상승했다.

지난 겨울 일본의 김 양식 작황이 부진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김 양식·가공업계의 꾸준한 품질 개선 노력에 따른 결과로 해수부는 분석했다.

부가가치가 높은 무당조미김과 김 조제품의 합산 계약액과 계약량은 575억원, 5억8000만장으로 지난해 대비 각각 35.9%, 14.4%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 일본에서는 외식이 줄면서 가정식 반찬으로 즐겨 먹는 조미김, 김자반 등의 수요가 늘어났다. 코로나19 영향이 잦아들었음에도 한국 김은 여전히 시들지 않는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4년 만에 대면으로 열린 입찰·상담회에서 그간 계약이 감소했던 마른김의 출품 상품이 거의 전량 낙찰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대일 김 수출 확대를 위해 품질 개선과 마케팅 지원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